아시아로 번진 미국 기술주 투매…아시아 증시 급락

아시아로 번진 미국 기술주 투매…아시아 증시 급락

미국의 기술주 투매가 아시아로 확산됐다. 한국과 홍콩 등 IT종목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 증시가 급락했다.

12일 한국 코스피와 홍콩 항셍지수가 나란히 1% 가량 하락했다.

홍콩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로 HSBC와 함께 가장 큰 중국 인터넷기업 텐센트 주가가 장중 2.8%까지 떨어진 영향이 컸다. 서울에서는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 주가가 한때 2.1%까지 내려갔다.

지난 9일 애플과 구글 모기업 알파벳, 아마존 주가가 나란히 3% 넘게 하락했다. 이들은 세계 시가총액 4대 기업에 포함된다. 애플은 3.9% 하락하며 14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이날 미국 증시 기술주 투매는 애플 차기 아이폰에 대한 우려와 IT 업종에 경고한 골드만삭스 보고서 영향으로 풀이된다.

골드만삭스 글로벌 투자책임자 로버트 보루제르디는 보고서에서 S&P 500과 나스닥을 끌어올린 페이스북과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등 5개사 이름 약자를 따 'FAAMG'이라 부르면서, 이들 기업이 경기적 리스크나 잠재적인 규제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투자자들이 과소평가한다고 지적했다.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차기 모델이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1기가비트인 퀄컴 모뎀 칩을 사용하지 못해 라이벌에 뒤질 것이라는 블룸버그 보도도 애플 주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

주요 아시아 주식시장 가운데 홍콩과 한국, 대만이 미국 기술주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소셜네트워크나 게임, 반도체, 스마트폰 부품 업체 등이 줄줄이 타격을 입었다.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6.8% 급락 마감했다. 코스피 20%를 차지하는 삼성전자는 1.6% 내린 채로 거래를 마쳤다. 최근 상장한 넷마블은 5% 하락했고, LG디스플레이도 4.9% 내렸다.

대만에서는 훙하이정밀(폭스콘), TSMC, 델타전자 등 애플 부품업체들이 지수를 0.9% 끌어내렸다.

일본에서는 소프트뱅크가 2.6% 내렸고, 닛케이지수는 0.5% 하락했다.

중국에서는 기술주 중심인 선전종합지수가 1.1% 하락 마감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0.6% 내렸다.

세계적인 투자자 짐 로저스는 최근 비즈니스인사이더와 인터뷰에서 “미국 일부 주식은 거품이 되고 있고, 거품은 터질 것”이라면서 “올해나 내년에 증시 폭락 사태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