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총장 신성철)이 종양 전체에 인공수용체를 전달해 표적 치료 효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박지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인공나노입자의 일종인 리포좀으로 종양 신호전달 체계에 표적 물질을 전달, 치료 효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표적치료는 종양의 성장 및 발생에 관여하는 분자를 표적으로 삼아 전체 종양의 성장을 저해하는 치료다. 하지만 종양 안에 표적 분자가 소량으로 존재하거나 없으면 효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종양세포 곳곳에 표적을 탑재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종양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 역할을 맡는 엑소좀(세포외소포)에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인공수용체를 탑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종양 안쪽까지 표적치료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소좀에 결합하는 세포막결합성 리포좀을 개발했다. 리포좀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콜레스테롤을 이용해 만든 인공나노입자다.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돼 내부에 인공수용체를 싣고, 엑소좀에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리포좀이 효과적으로 엑소좀에 인공수용체를 전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실험용 쥐의 종양에 리포좀과 인공수용체를 전달, 종양전체에 표적물질이 퍼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종양 표적치료의 활용도를 높이는 발판이 된다고 설명했다.
박지호 교수는 “리포좀은 엑소좀에 효율적으로 인공수용체를 탑재한다”면서 “종양 전역에 표적물질을 전달할 수 있어 표적치료가 어려운 다양한 질병에 치료 효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