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금융위기 20년…선진국 의존도 낮춰야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1997년 7월 아시아 금융 위기가 닥친 지 20년이 지난 지금, 각국이 대비 태세는 강화했지만 미국 등 선진국 요인에는 여전히 취약하다고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26일 분석했다.

신문에 따르면 아시아에서는 20년 전 금융 위기를 교훈 삼아 다국간 협력 관계를 확대하는 등 대책을 강화했다. 하지만 미국 등 주요국 정책 변화에 쉽게 좌우되는 체질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아시아 금융 위기는 1997년 7월 투기 세력의 매도 공세에 태국 통화인 바트화가 급락하면서 촉발됐다. 여파는 아시아 각국으로 퍼지면서 경기는 급격히 악화했다.

당시 교훈을 살려 아시아에서는 위기 방지를 위한 체제 정비를 가속화했다. 2000년에는 한·중·일 3국과 ASEAN이 위기 때 달러를 서로 융통해주는 스와프 협정에 합의했다.

2014년에는 스와프 자금 규모를 두배인 총 2400억달러(약 268조원)로 늘렸다.

체질도 강화됐다. 위기 진원지인 태국의 경우 외환 보유고를 20년 전의 4배 이상으로 늘리는 등 각국이 독자적인 위기 대응책을 꾸준히 마련 중이다.

그러나 신문은 외부 충격에 약한 경제구조는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6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선 뒤 미국 장기금리 상승 때 취약성을 노출했기 때문이다.

당시 말레이시아 링기트화 가치는 6% 급락했다. 이에 따라 수출 기업이 받는 외화의 75%는 링기트화로 바꾸도록 의무화하는 등 자국 통화가치 방어 대책을 가동했다.

한국에서는 주택 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잔고가 최근 10년간 2배 이상 급증했다는 점에서 미국 금리상승 시 채무불이행 사태가 올 수 있다고 마이니치는 지적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