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관계가 심상치 않다.
중국 관영 CCTV의 문재인 대통령 압박 인터뷰, 리커창 총리 오찬 취소, 차관보급인 부장조리 의전에 이어 한국기자단이 중국 경호 측에 집단폭행당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여기에 중국의 '3불(不) 합의' 이행 촉구까지 더해지면서 국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다.
사드(THAAD·종말고고도지역방어) 한파를 녹이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하겠다던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이 나라 안팎에서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
국회 야 3당은 14일 긴급 논평을 내고 충격적인 '외교참사'라고 비판했다. 여당도 유감을 표했다.
![文 수행기자단 집단폭행...야3당 "외교참사", 여당 "유감, 진상 철저히 밝혀야"](https://img.etnews.com/photonews/1712/1024294_20171214185619_170_0001.jpg)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중국 방문 일정을 즉각 중단하고 철수하라”고 촉구했다. 국빈방문 중인 국가원수의 수행기자단을 집단폭행하는 것은 대한민국에 대한 테러이며 결코 묵과할 수 없는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제원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이 공항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차관보가 영접하고 총리 오찬은 취소당한 것도 모자라 수행기자단이 폭행당하는 굴욕은 연내에 급하게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밀어 붙인 결과로 외교참사이자 굴욕외교의 극치”라고 말했다.
그는 “준비 소홀과 취재 지원, 현장 경호의 책임이 있는 강경화 외교부장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영훈 경호처장,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등 책임자들을 즉각 문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사태가 문 대통령이 외쳐온 '나라다운 나라'냐고 질타했다. 중국 측의 공식 사과뿐만 아니라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文 수행기자단 집단폭행...야3당 "외교참사", 여당 "유감, 진상 철저히 밝혀야"](https://img.etnews.com/photonews/1712/1024294_20171214185619_170_0002.jpg)
국민의당은 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정식으로 유감을 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즉각적이고 효력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이행자 국민의당 대변인은 “국빈방문 중인 상대국가 대통령의 수행기자단에 대한 이와 같은 행위는 외교관례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언론 자유의 침해를 넘어, 문 대통령을 비롯한 우리 방중단을 무시하는 행위로 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제기된 '홀대론'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면 이는 좌시 할 수 없다고 재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진상규명과 사과는 물론 재발방지의 약속을 촉구했다.
![文 수행기자단 집단폭행...야3당 "외교참사", 여당 "유감, 진상 철저히 밝혀야"](https://img.etnews.com/photonews/1712/1024294_20171214185619_170_0003.jpg)
바른정당은 “믿을 수가 없다. 정말 말문이 막힌다”고 통탄했다. 유의동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중국 한복판에서 대통령은 찬밥 신세를 당하고, 언론은 샌드백 취급을 당했다”며 “국빈인 대통령은 혼밥족이 되고 기자들은 중국 경호원들의 주먹과 발길질에 무참히 당했다. 외교적 결례를 넘어서 의도적인 모욕”이라고 분개했다. 국민 가슴 속에 피멍이 맺힌다고 덧붙였다.
유 대변인은 “돌아오는 대로 대통령은 오늘의 치욕에 대해 국민 앞에 보고해야 한다. 정부도 그에 상응하는 실효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文 수행기자단 집단폭행...야3당 "외교참사", 여당 "유감, 진상 철저히 밝혀야"](https://img.etnews.com/photonews/1712/1024294_20171214185619_170_0004.jpg)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유감'을 표했다.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 방중 수행 사진기자를 폭행한 중국 경호원 측에 유감을 표한다”며 “있을 수 없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했다. 양국의 신뢰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에 이런 일이 발생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그는 “신속하게 진상을 파악해 응분의 조치를 취해줄 것을 중국 당국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