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https://img.etnews.com/photonews/1803/1047693_20180303164455_827_0001.jpg)
중국 정부의 자본유출 규제 여파로 지난해 중국 대외투자 규모가 30% 가까이 줄었다. 3년 만에 다시 자본 순유입국으로 전환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7년 국민경제·사회발전 통계' 보고서를 통해 금융을 제외한 중국의 지난해 대외직접투자(FDI)가 1201억 달러로 전년보다 29.4% 감소했다고 밝혔다.
반면 외국자본의 중국 투자는 늘었다. 지난해 중국에 신설된 외국기업 수는 전년보다 27.8% 증가한 3만5652곳에 달했다. 또 외국자본이 실제 중국에서 사용한 투자액은 1310억 달러로 전년보다 7.9% 늘어났다.
이로써 중국은 109억 달러의 투자 흑자를 내며 '자본 순유입국'이 됐다. 지난 2014년 대외투자가 외래투자보다 많은 자본 순유출국이 된 지 3년 만에 순유입국으로 되돌아선 것이다.
자본 순수출은 한 국가 경제의 성숙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대외투자 감소에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호조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은 80조위안 선을 넘어 82조7000억위안(12조8600억달러)에 달하며 6.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1년 사이 GDP 증액분 1조2000억달러는 세계 13위인 호주의 2016년 경제총량에 맞먹는 규모다.
중국의 GDP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로 커졌다. 이는 5년 전보다 3%P 늘어난 것으로 경제규모 면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