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4/1062585_20180416180626_966_0001.jpg)
정부가 11개 지자체와 협력해 31개 기업에 3500억원 규모 투자를 지원한다. 지원사업을 통해 향후 620여명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2018년 제1차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투자 지원 대상 기업에 458억원(국비 318억원)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신청한 기업은 전년보다 늘었다. 개성공단 피해기업 대체투자가 11건에 달했다. 작년 11월 정부가 개성공단 피해기업에 대한 추가피해 지원(660억원)을 결정하면서 기업 투자 여력이 확보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주혁신산단에 위치한 전기장비 제조업체 3곳도 동반투자를 시작한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한전)이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물품구매지원제도를 활용해 지방투자를 견인한 효과다. 특별지원지역에 입주한 중소기업이 직접 생산하는 물품을 구매할 경우, 제한경쟁입찰 및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정부 지원 정책이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끼친 사례로 평가된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은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지방 신증설 △국내 복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백업라인 구축 △조선기자재업체 업종 전환을 위해 투자할 경우 설비는 최대 24%, 입지는 최대 40%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지역과 기업 규모별로 투자액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차등 지원한다.
정부는 지난해 총 93개 기업에 1400여억원 교부 결정을 내렸다. 개별기업 투자기간(3년 이내)동안 3조2000억원 지방투자와 4200여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유도했다.
산업부는 향후 산업 및 고용위기지역 투자 유치를 위해 해당지역에 대한 지방투자보조금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보조금 지원 기준을 개정해 산업·고용 위기지역 지원 비율을 상향 조정한다. 이를 위해 산업위기지역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220억원을 포함해 총 530억원을 추경예산으로 요청했다.
안성일 산업부 지역경제정책관은 “이번 지방투자로 600명이 넘는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향후 더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지역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을 최우선 지원하고, 산업 및 고용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 지원을 강화해 지역경제 회복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