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스마트시티 표준, 한국이 주도한다

아시아 스마트시티 표준, 한국이 주도한다

아시아 스마트시티 표준이 한국을 중심으로 모아진다. 아시아 주요 국가가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공서비스 융합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스마트시티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협력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0일 부산에서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호주 등 아시아 9개국 표준화 전문가를 초빙해 '제1회 스마트시티 아시아지역 표준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지난해 11월 당정 주도로 열린 '4차 산업혁명 국제표준포럼' 후속조치로 열렸다.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표준화 논의를 위해 아시아 지역에서 국제 표준포럼이 열린 것은 처음이다. 국표원은 스마트시티 관련 국제표준 선점 기반을 확보하고, 국내 관련 기술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김갑성 위원장과 국제표준화기구(ISO) 스마트시티 인프라 분과(TC268/SC1) 요시아키 이치카와 의장이 기조연설 했다. 스마트시티 성공적 이행을 위한 추진 정책과 국제표준화 동향을 소개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 스마트 도시재생 뉴딜 정책과 세계적 수준의 국가 시범도시 조성 방안을 발표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표준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치카와 의장은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인프라 관련 국제 표준화 프로젝트 추진동향과 표준화 중요성을 설명했다.

패널토론(좌장 연세대 이희진 교수)에서는 '표준을 통한 스마트시티'를 주제로 아시아 표준 전문가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참석자는 '교통, 에너지, 환경, 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가 융합되는 플랫폼'인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 대표 사례라는 점에서 인식을 함께 했다. 스마트시티에서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이 하나로 융합 동작하기 위해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준화 활동에서 경험한 장애요소를 공유하고 정보교류, 표준화 공동연구,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공동 대응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교환했다.

관련 협력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아시아지역 최초의 '지역표준화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유럽(CEN/CENELEC), 중동(GSO), 미주(COPANT), 아프리카(ARSO) 등에는 지역별 표준화기구가 있다. 아시아지역은 지역표준화기구가 없다.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
허남용 국가기술표준원장.

허남용 국표원장은 “국내 기술이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표준 연구개발(R&D) 투자 등 정책·재정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포럼을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 대상국이 참여하는 국제 표준포럼으로 정례화하고, 스마트시티 표준화 논의를 주도하는 거점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