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2차 관세조치로 무역전쟁을 확대하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6000만달러, 대중 수출은 2억8000만달러 감소가 예상된다. 국내 생산은 8억달러 줄어들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21일 미·중 상호 관세부과의 한국 수출영향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최근 미국이 5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 1102개에 25% 관세를, 중국이 같은 규모 미국산 제품 659개에 25%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국내 산업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미국은 다음달 6일부터 1차 조치로 기계·자동차·전자 등 818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한다. 석유화학·메모리반도체 등 284개 품목에 대해서는 2차 조치로 추후 부과 예정이다. 중국도 6일부터 농축산·자동차 등 545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한다. 화학·에너지 등 114개 품목은 2차 추가 조치에 관세 부과 예정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차 관세 조치 이후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5000만달러, 대중 수출은 1억9000만달러 감소할 전망이다. 지난해 대비 대중 수출은 0.13%, 대미 수출은 0.07% 감소한다. 국내 생산은 5억7000만달러 감소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2차 관세 조치까지 갈 경우 대미와 대중 수출이 각각 6000만달러, 2억8000만달러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생산은 8억달러가 감소하며 영향이 다소 확대된다.
미국의 대중 추가관세 부과 여파는 화학·전기전자 업종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됐다. 화학은 중국의 한국산 중간재 투입 비중이 높고 정보통신·가전은 중국 제조업 전반에 걸쳐 중간투입 비중이 높다.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등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대부분 현지 소비돼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다.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에 따른 영향은 정보통신·가전·화학·기초금속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미 제조업 생산 감소에 따라 한국산 중간투입이 줄면 정보통신·가전·화학 등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평가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분석은 미중 무역전쟁 관련 국내 산업 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면서 명확한 영향분석을 위해 실시됐다”며 “향후 미·중 경기 동향을 감안하면 추정이 어려울 수도 있는 만큼, 앞으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대응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중 두 나라는 공세 속에서도 협상 여지는 남겨놨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중미 양국은 베이징에서 농업, 에너지 분야 협상을 한 데 이어 조만간 제조업, 서비스업에 대한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양측의 구조적 문제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