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보통신기술(ICT) 교류를 우선 비정치 학술분야에서 시작해 ICT 인력, 경제문제 해결 등으로 확대해나가야 한다.”
한국통신학회와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방송학회가 20일 국회에서 '남북교류를 대비한 정보통신방송인의 역할과 준비' 심포지엄을 열고 평양정상회담을 계기로 촉발된 ICT 분야 교류 활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국제사회 대북 경제제재로 한계가 존재하지만, 단계적 접근 전략을 우선 마련해두고 협력 물꼬를 터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김유향 국회 입법조사처 팀장은 학술 분야 등 제재를 적용받지 않는 분야부터 교류가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김 팀장은 “북한학자 논문이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지에 최초로 게재된 사례처럼 비정치 분야 공동연구부터 활성화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타분야로 교류를 확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ICT 발전단계와 필요에 대응하는 협력 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도 기존 유선 중심에서 이동통신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면서 “초기단계의 전자상거래, T커머스, 방송디지털화 협력부터 시작해 북한의 ICT 인력과 남한의 자본이 결합하는 방향으로 경제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호제 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소장은 '통일-기술 창업프로그램'으로 남북한 스타트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가 남북교류 경험이 있는 기업에 단체와 연구자, 전문가를 지정해 연구개발(R&D) 등을 간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통일 스타트업을 육성하자는 전략이다.
강 소장은 “북한의 우수한 기술상품과 우리나라 연구자의 역량을 정부 지원 아래 결합해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면서 “새로운 남북교류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
박지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