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거버넌스 혁신부터 학과 개편까지…해외 대학 혁신 사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대학이 인구 구조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만의 혁신을 넘어 정부·사회 유기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학이 사회 변화에 발맞춰 교육 내용·방법과 학사구조를 혁신하도록 지원하는 정부 거버넌스 역시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회 파행으로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논의 자체가 중단됐으나, 거버넌스와 대학·일자리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 논의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사립대총장협의회는 해외 혁신 사례를 해석한 보고서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체계적인 대학혁신과 추진동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 기술·교육·일자리 정책을 연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거버넌스 혁신을 통해 부처별 인력양성 사업을 총괄 관리하고 중복 여부를 심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DARPA(방위고등연구계획국) 사례가 언급됐다. 미래에 있을 수 있는 기술적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선제 대응하는 조직이다. 신소재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가 접목된 학제 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대학 등 학계를 주로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국방력과 산업경쟁력,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구했다. 300여명 과학자 집단이 일하는 대통령 직속 전략 컨트롤타워로가 군사부터 과학기술, 대학교육까지 모두 총괄했다. 하나의 분명한 목표 아래 국방부터 대학에 이르는 혁신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고등교육을 혁신한 사례다.

영국에서는 대학교육과 과학기술혁신, 기업활동을 아우르는 조직 '기업혁신기술(BIS)'이 2009년 설립됐다. 국가 차원의 대학 고등인력 및 과학기술 활동, 고용, 기업 성장과 혁신역량 신장을 아우른다.

거버넌스 혁신과 함께 학사 구조 혁신 역시 중요한 틀이다. 해당 전공교수에 의해 단절된 학과 중심 학사구조를 융복합형 학부 중심 학사구조로 혁신하거나 개별 맞춤형 전공설계 교육과정 체제로 혁신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대학 혁신 대표 사례로 꼽히는 애리조나 주립대학은 물부족·인간진화·사회변화와 같은 학부를 만들었다. 기존 학과를 통합하고 재배치해 사회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세계에 유일한 전공을 만든 것이다.

단일형 학기제를 기초학기-연구학기-실습학기-자유학기-인턴학기 등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복합형 학기제로 개편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기초교양 역시 모델 역시 4차 산업혁명 대응 역량을 강화하도록 재설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근 국내 대학도 교양과목을 개설해 자연계와 인문계 모두 소프트웨어 코딩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