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2월 예정이던 달탐사 궤도선 발사가 19개월 뒤인 2022년 7월로 연기됐다. 궤도선 적정 중량을 둘러싼 논란으로 일정이 지연되면서 160억원 규모 추가 비용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세종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서 국가우주위원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달 탐사 사업계획 변경안'을 심의·확정했다.
변경안은 그간 달 탐사 사업 계획을 둘러싼 각종 논란을 점검해 나온 대안을 중심으로 수립됐다.
앞서 달 궤도선은 2017년 8월 예비설계 이후 상세설계 및 시험모델 개발과정에서 기술적 한계로 경량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로 인해 목표 중량을 당초 550㎏에서 128㎏ 늘어난 678㎏로 변경했다.
이후 연구현장에서는 중량 증가로 인한 연료부족과 이에 따른 임무기간 단축 가능성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됐다. 연구자 사이에 678kg급 궤도선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하다는 의견과 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대립하면서 사업이 지연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진상파악과 해법 마련을 위해 사업 주체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자체점검을 지시했다. 이를 토대로 지난달까지 우주분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평가단을 운영, 연구자 간 이견을 조정했다.
점검평가단은 현 설계를 유지해 목표 중량을 678kg으로 조정하고, 달 궤도선을 2022년 7월 이내에 발사하기로 권고했다. 임무궤도 최적화를 통해 임무기간 1년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궤도선이 달 상공 최대 300㎞ 지점에서 타원궤도를 9개월 간 돌고 이후 100㎞ 상공의 원궤도를 3개월 간 도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타원궤도 비행에는 연료가 덜 소모되기 때문에 추가 연료, 연료용기 증설 등 과정이 필요 없다는 의견을 받아들였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임무궤도를 타원형으로 바꾸어도 국내 탑재체가 경우 계획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다”면서 “NASA탑재체는 달 남극 음영지역 관측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타원궤도의 근지점(100km)을 달 남극으로 맞춰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정책관은 “항우연 위험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달 탐사 사업단에 경험이 풍부한 연구인력을 보강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답보해 온 달탐사 사업을 다시 궤도에 올렸지만 당초 무리한 계획을 세우고 연구 현장 혼란을 초기에 잠재우지 못하면서 계획 지연, 추가 비용 발생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따른다. 사업기간 연장에 따른 추가 예산은 약 167억원(발사 84억원, 시험평가비·인건비 83억원)으로 추산된다.
신명호 항우연 노조위원장은 “최초 계획 수립시 한국형 발사체에 싣기 위해 궤도선 중량을 550㎏ 맞추고 이를 지속 고집한 측면이 있다”면서 “애초에 무리한 조건, 추진에 대한 우려가 있었고 이 같은 상황이 예견됐다”고 주장했다.
달 궤도선은 달 주위를 돌며 지형관측, 착륙선 착륙지점 정보 수집, 우주 인터넷 기술 검증 실험 등을 진행한다. 궤도선에는 국내에서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 광시야 편광 카메라, 달 자기장 측정기, 감마선 분광기, 우주 인터넷 시험 장비 등 5개의 장비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하는 섀도 카메라 등 탑재체 총 6기가 실릴 예정이다. 미국의 스페이스X가 궤도선 발사업체로 선정됐다.
최호 정책기자 snoop@etnews.com,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