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세종 관가에 비상이 걸렸다. 경제·사회 부처에 국한되지 않고 행정부 모든 부처가 코로나19 방역과 대책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방역·치료와 직접 관련 없는 부처나 부서 공무원도 다른 업무에 손을 댈 수 없는 지경이다. 공무원 총동원은 조기에 감염을 차단, 전염 최소화가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전파력은 감염 환자 첫 발생 후 한 달여 만에 3000명을 넘어서는 등 막강하다. 바이러스는 경제·산업계도 멈춰 세웠다. 코로나19로 인해 대형마트와 상가, 지역 공장 등이 문을 닫았다. 가전, 자동차, 문화·예술 소비는 꽁꽁 얼어붙었다.
국내에만 해당되는 사안이 아니다. 한 달여 동안 중국 공장 가동을 중단시키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경제와 산업에 부정적 파급 효과를 줬다. 세계 각국에 바이러스가 퍼지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과 유럽 자본 시장도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 경제컨설팅기업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에 대유행할 경우 무역과 금융시장, 외환시장 충격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시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0.5%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우리가 체감하는 영향은 더 커질 수 있다.
바이러스 전파로 인한 피해는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산업·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바이러스 방역과 함께 산업·경제계에 미칠 영향을 판단하고 앞으로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우리 경제도 현재 중요한 변곡점에 있다.
행정 부처가 코로나19 확대 차단과 확진자 치료에 노력하는 만큼 '경제 치료' 정책에도 힘을 써야 할 때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
이경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