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미래산업일자리특위' 출범...위원장에 조명희 의원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가 '미래산업일자리특별위원회'를 만들어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환경 변화에 대응한다. 산학연 전문가가 신규 일자리 전망을 분석하고 인력 양성책을 마련한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제기했던 '데이터청' 관련 이슈도 특위에서 다룬다.

통합당 비대위는 2일 조명희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미래산업일자리특위 출범을 의결했다. 경제혁신특위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산업·경제 분야 특위다. 경제혁신특위가 국가 산업경제정책 관련 큰 틀을 구상하면 미래일자리특위가 세부 각론을 짠다.

통합당 '미래산업일자리특위' 출범...위원장에 조명희 의원

미래먹거리인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를 비롯해 'K-바이오' 'K-헬스케어' '인공위성·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이 출범 목표다. 통합당은 이를 차기 대선 핵심공약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비롯한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자동화 등 급격한 산업환경 변화 속에 미래 세대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방안도 모색한다.

조명희 의원장은 경북대 융복합시스템전공 교수를 역임한 위성정보 분야 국내 1호 박사다. 21대 국회 과학기술 전문가로 꼽힌다.

특위 위원으로는 통합당 김영식, 이주환 의원과 김성태 전 의원 송희경 전 의원 등이 합류했다. 김화동 전 한국조폐공사 사장, 박용후 피와이에이치 대표,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구태언 법무법인 린 테크앤로부문 부문장, 박병종 콜버스랩 대표 등이 외부 전문가로 참여한다.

원내 의원 비중보다는 외부 전문가 풀을 확대해 전문적인 일자리 대책을 마련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특위는 △전통산업과 ICT 융합 △ICT 분야 신기술 및 데이터 활용 △스타트업과 기업육성 △융합형 인재양성 관련 현장의 목소리를 수용할 예정이다.

데이터청 설립방안 마련도 미래일자리특위에서 담당한다. 특위에 데이터청 업무를 담당하는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관련 기구 역할과 활동 범위, 제반 여건 등 기구 설립을 위한 사안 등을 점검한다.

현재 통합당은 데이터청 설립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을 제안한 상태다.

조명희 의원은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제조업, 농업, 인공지능 등 모든 분야에 대해 포괄적 미래산업을 추진하고 있어 미래먹거리 발굴 및 정책추진 속도가 주요국에 뒤처지고 있다”며 “특위에 많은 전문가가 모인 만큼 국가경쟁력 확보 및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정확한 데이터 산출에 기반한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조명희 미래통합당 의원.
조명희 미래통합당 의원.

<인터뷰>

조명희 미래통합당 미래산업일자리특별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일자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개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의 일자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흑백논리로 구분된다”며 “비대면 등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예상되는 미래에선 격일제, '투잡', 비정형화된 파트타임 근무 등 다양한 형태의 노동방식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의원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와는 다른 시각을 보였다. 우리가 일자리 감소를 걱정하는 지금도 기술과 산업은 계속 고도화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는 막을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그는 기술 발전처럼 일자리도 유연성을 갖추고 계속 변화한다면 새로운 시대에 대처할 수 있다고 봤다.

정부가 나서서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변화하는 산업과 시장에 맞춰 새롭게 도래할 일자리의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낫다고 조 의원은 주장했다. 이를 위해 일자리 소멸과 등장, 관련 인력 현황 등을 조사해 정확한 통계 기반의 미래 고용창출 정책을 수립할 것을 주문했다.

조 의원은 “제도적 차원에서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은 성과에 한계가 있고 자유민주주의에도 반하는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비대면 분야에서 추진되는 다양한 프로젝트 과정에 어떤 기업들이 등장하고 어떤 직종이 필요하게 될지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위 활동에 대해서는 “야당으로서 여당이 할 수 없는 검증 역할을 충실히 해 정부가 좀 더 실효성 있는 정책을 낼 수 있도록 조언할 것”이라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비대면 시대 일자리 전망에 대해서는 새로운 융합형 일자리가 사라진 일자리를 대신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서비스 요구가 커지면서 식당 종업원은 줄었지만 배달인력 수요는 높아진 것처럼, 형태가 달라질 뿐 일력의 필요성은 항시 존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 의원은 “많은 이들이 ICBM(IoT,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로만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4차 산업혁명이라고 생각하지만 전통산업에 융합하는 것이야 말로 4차 산업혁명”이라며 “농업, 패션 등 기존 산업에 ICT를 융합하면 새로운 일자리가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