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끝까지 볼수록 추천 가능성↑···삭제영상 절반은 조회수 '0'

유튜브가 투명성 강화를 위해 '유튜브 작동의 원리' 웹사이트를 7일 개설했다.

사이트는 유튜브 콘텐츠 운영 기준을 총망라했다. 저작권보호·수익창출 정책을 비롯해 그동안 베일에 쌓였던 콘텐츠 추천, 삭제 알고리즘과 현황도 일부 공개했다.

유튜브는 “투명성 강화 노력 일환”이라면서 “책임감 있는 플랫폼으로 커뮤니티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에 대해 답변을 제공하고 유튜브 제품과 정책을 자세히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튜브에 따르면 끝까지 시청한 비율이 높은 콘텐츠가 추천이 목록에 뜰 가능성이 높다. 유튜브가 삭제하는 영상 중 50%는 조회수가 '0'이다. 즉 이용자가 보기 전에 자동으로 감지해 삭제하는 비중이 높다.

유튜브는 콘텐츠 추천에서 이용자 시청·검색 기록과 구독한 채널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다. 국가와 시간 같은 사용자 상황도 알고리즘에 포함한다.

같은 동영상을 클릭한 다른 사용자가 이를 끝까지 시청했는지 여부도 중요하다. 끝까지 본 비율이 높다면 동영상 품질이 우수하거나 재미있다고 판단한다. 동영상을 재생한 후 바로 다른 콘텐츠를 클릭한 비율이 높다면 추천 콘텐츠 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 홈페이지와 앱 전반에 표시되는 무작위 설문조사를 결과도 시스템 조정에 반영한다.

콘텐츠 삭제는 기계와 사람이 검수를 병행해 결정한다. 세계시장에 동일 적용하는 커뮤니티 가이드를 중심으로 100군데 서비스 지역의 현지 법규를 따로 적용해 삭제 유무를 판단한다. 정책을 위반하지는 않지만 문제 소지가 있는 콘텐츠는 추천을 제한해 확산을 막는다. 이른바 '정책 위반 경계선상에 있는 콘텐츠'다. 유튜브는 이런 절차를 통해 미국에서 관련 콘텐츠 시청 시간을 70% 이상 줄였다고 밝혔다.

수익창출 제한 콘텐츠를 뜻하는 '노란딱지'와 '회색딱지'는 크리에이터가 항소 절차를 통하면 전문 리뷰어가 다시 심사한다. 동영상 콘텐츠, 제목, 메타데이터가 유튜브 광고주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재판정한다.

유튜브가 별도 웹사이트를 통해 작동원리를 밝히는 것은 한국을 비롯한 서비스 지역에서 유튜브 정책에 대한 질의와 논란이 폭증했기 때문이다.

유튜브는 국내에서도 콘텐츠 삭제와 수익제한 대한 정치권과 사회적 지적을 계속 받았다. 지난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권고를 받아들여 8개월 만에 5·18 민주화운동 역사 왜곡 동영상 85건을 삭제했다.

지난 해부터 정부비판 콘텐츠를 만드는 보수우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유튜브가 이들에게 '노란딱지'를 붙인다는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은 지난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과방위) 국감에 출석해 “삭제는 정치적 의도와 상관 없다”고 말했다. 자체 마련한 11개 가이드라인에 따라 인공지능이 1차로, 구글 직원이 2차로 선별하는 절차를 거친다는 것이다.

유튜브, 끝까지 볼수록 추천 가능성↑···삭제영상 절반은 조회수 '0'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