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공 직업교육' 강화해야

폴리텍, 국회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 전망과 공공 직업교육의 역할' 토론회 주관

23일 국회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망과 직업교육의 역할 토론회. 왼쪽 세번째부터 김동만 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이석행 한국폴리텍 이사장, 안호영 의원, 최종윤 의원, 나영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23일 국회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망과 직업교육의 역할 토론회. 왼쪽 세번째부터 김동만 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이석행 한국폴리텍 이사장, 안호영 의원, 최종윤 의원, 나영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공공 직업교육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일자리 대변화에 대비하고 '한국형 뉴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장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 전망과 공공 직업교육의 역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와 이같이 주장했다. 토론회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노웅래, 안호영, 최종윤 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폴리텍대학이 주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노동시장과 산업 변화를 전망하고, 이에 대응한 직업교육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감안해 폴리텍대학 유튜브(Youtube) 채널을 활용한 온라인 생중계 형식으로 진행됐다.

배 원장은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저점상태로 장시간 지속되는 'L자형 경기 침체'에 빠져들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휴업·휴직 등 노동시간 단축을 재직자 직업훈련과 교육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현희 폴리텍 직업교육연구소장은 위기 산업 중심으로 직업훈련 지원을 탄력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발제했다. 미래 일자리에 대응한 신산업·신기술 분야 직업교육훈련과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시스템 반도체, 항공 MRO, 바이오 설비 등 소재·부품·장비 산업 인력 양성에 대한 공공 부문의 선도적 역할을 제언했다.

장 소장은 코로나19로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재교육을 실시하는 '취업 119' 사례도 소개했다. 최근 3년간 졸업생 3만5000명을 대상으로 한 고용실태 및 재교육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단기 교육과정과 연계해 이전에 습득한 기술과 역량을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형태다.

이어 나영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을 좌장으로 토론이 이뤄졌다. 토론자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공 직업교육 역할 확대 필요성에 공감했다. 정부 관심과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병욱 충남대 교수는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사회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 주민의 직업능력개발 기능 강화를,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현장 재직자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과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민석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하고 '일자리 지키기' 훈련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석행 폴리텍 이사장은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재취업 지원을 강화해 보다 든든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겠다”며 “청년층 대상 디지털·신기술 분야 직업교육훈련 확대 등 포스트 코로나 이후 예견되는 고용상황에도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