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KIT·소장 송창우)는 생활환경 플라스틱 안에서 검출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유해영향 원인물질을 파악, 유해 분류기준 마련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4일 밝혔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외부에서 들어와 내분비계 생리작용을 교란시키는 화합물을 뜻하다. 이 물질은 다양한 생체신호와 연관돼 정확한 유해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장기간 노출을 통한 동물 실험이 필수다.
KIT 생태독성연구그룹은 제브라피시를 활용,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독성원인 물질을 발견하고 내분비계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아동용 장난감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DEHP'의 대사산물인 'MEHP'를 21일 동안 제브라피시에 노출시켰다.
이 결과 MEHP가 제브라피시의 산란 감소·배란지연, 성호르몬 변화 등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트레스 반응 증가를 나타내는 코티졸 호르몬 증가도 유발했다.
이번 연구로 생활 화학제품 함유 유해물질이 체내에 흡수된 후 생성되는 대사산물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안전성평가연구소 생태독성연구그룹의 박창범 박사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 내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글로벌 화학물질 관리 규제에 선제대응 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이번 연구는 환경독성분야에서 새로운 대체시험법 개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 밝혔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