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관련 전 영역의 역량을 갖춘 곳으로 국내에선 우리가 유일합니다. 단일 컨트롤타워를 갖춘 조직을 통해 효율적이면서 빠른 AI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윤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인공지능연구소(AI 연구소) 소장은 조직의 특수성에 대해 설명하며 향후 AI 관련 성과 창출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우리나라에 AI 연구를 하는 곳은 부지기수다. 특정 분야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는 곳 역시 많다. 그러나 다방면에 역량을 갖춰 각 분야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 나라 전반의 '지능화'를 목표로 둘 수 있는 것도 이런 조직 배경이 있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소장은 이를 바탕으로 현재 AI를 넘어서는 '그 무엇'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피력했다. 미국과 중국, 글로벌 대기업 등 거대 주체가 지배력을 발휘하는 현 구도를 넘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가능성을 복합지능과 자율성장형 AI에서 찾았다.
그는 “사람처럼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여 종합 분석하고, 스스로 성장하는 AI를 구현할 수 있다면 기존의 틀을 탈피한 '포스트 딥러닝'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물론 많은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지만 성공한다면 AI 분야에서 우리의 지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도 큰 관심을 내비쳤다. AI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컴퓨팅 파워는 당연히 수반돼야 한다. 우리나라의 약세 분야이긴 하지만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뒤처져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ETRI가 '알데바란' 칩을 개발하는 성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기존 기반에 더해 알데바란 후속 칩 개발을 비롯한 AI 반도체 기술, AI 처리 특화 시스템 구현, 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슈퍼컴퓨터 등 연구에 노력을 기울여 하드웨어(HW) 분야에서도 굵직한 성과를 내겠다는 포부다.
궁극적 목표는 국민 모두가 자랑스러워할 '대형 성과'다. 이 소장은 “시작 단계에 있지만 이미 많은 기반 역량과 성과를 갖추고 있고, 효율적인 연구 진행도 가능한 조직이 있다”면서 “남들은 못하는 대형 성과 창출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