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장비산업이 2000년 이후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중심으로 성장한 가운데 최근 산업용 로봇 분야도 빠른 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장비산업 분야 중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눈에 띄는 성장은 매출과 영업이익 부진에도 고용과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한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 기계기술정책센터가 곽기호 부경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팀과 함께 2일 발간한 기계기술정책 100호 '우리나라 제조장비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과 시사점'에 담긴 내용이다.
연구팀은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등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19년 간(2000년~2018년) 성장·혁신·수익 패턴을 분석한 결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이 급격한 성장을 보인 반면 공작기계 산업은 2010년 이후 성장 정체에 머무른 것을 확인했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최근 성장세를 보였지만, 절대 규모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의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질적인 성장이 나타난 원인 중 하나로 R&D 투자 패턴의 차이에 주목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의 경우 2018년 R&D 집약도(매출액 대비 R&D 투자금액)가 3.8%에 달하지만, 공작기계 산업과 산업용 로봇은 각각 1.6%, 2.5%에 그쳤다.
특히 공작기계 산업은 두산공작기계를 제외하고는 산업 전체적으로 저수익 현상이 굳어지고 있어 수익 창출에 기반을 둔 R&D 투자와 고용 창출의 선순환 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제조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과제로 △전략적 기업군 발굴 및 육성 △M&A 장려정책으로 글로벌 히든 챔피언 창출 △스타트업 육성 및 고용 지원정책으로 일자리 창출 △출연연의 지역기업 지원역량 강화를 토대로 비수도권 지역의 혁신역량과 수익성 제고 등을 제시했다.
한편 기계연은 기계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전문지식지 '기계기술정책'을 매년 4회 이상 발간하고 있다. 기계기술정책은 기계연 홈페이지에서 정기구독 신청 및 내려받을 수 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