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 시대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저탄소·친환경 관련 신산업 육성에 팔을 걷는다. 주력산업을 환경친화형으로 전환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주력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민간 연구기관장들과 '산업전략대화'를 열고 코로나 시대 산업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산업 별 영향을 진단하는 한편 미국 대선, 탄소중립 등 최근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 전략을 모색했다.
성 장관은 “코로나로 인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디지털 경제라는 새로운 기회도 존재한다”면서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재인식으로 탄소중립 중요성도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탄소중립 등 친환경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미국산업 보호와 제조업 육성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 장관은 앞으로 이 같은 변화를 감안해 △산업구조 혁신 △산업활력 제고 △연대와 협력이라는 3대 산업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철강·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은 혁신 기술을 활용해 환경 친화형으로 전환한다. 바이오·미래차 등 저탄소 신산업 육성에도 적극 나선다. 또 데이터, 5G,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고부가철강, 자율운항선박 등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산업 활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한국판 뉴딜에 한층 속도를 내는 한편 바이오·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 이른바 '빅3' 산업 육성에 총력을 쏟는다.
성 장관은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공동개발, 미래차와 배터리 리스(대여) 사업 등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 간 연대·협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 날 삼정KPMG의 '코로나 시대 산업전략'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부문에서는 부품업체들의 미래차 전환 준비가 부족한데다 완성차 업체 의존도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소재 자립화가 추진되고 있는 반도체 부문에서는 장비 국산화율이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철강은 수요절벽과 공급과잉이 지속하는 가운데 탈탄소 공정 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화학에서는 고부가가치 및 신소재로 사업을 재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바이오는 원부자재 해외 의존을 줄이고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보고서는 △친환경·디지털 산업구조 혁신 △투자 등 산업활력 회복 △연대·협력 확산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성 장관은 “코로나 시대 산업전략 방향과 제안은 앞으로 민간과 충분히 소통하면서 구체화할 것”이라면서 “주요 과제는 내년도 산업부 업무계획에 반영해 정책으로 다듬고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