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 거버넌스는 교육계가 지난 한 해 동안 코로나19로 혼란을 겪으면서 지속적으로 지적했던 사항이다. 미래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에듀테크 플랫폼 같은 시스템과 학교 내 디지털 환경은 물론 교수학습 방법과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혁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교육 전반에 걸친 혁신을 위해서는 부처 내 칸막이를 없애고 현장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조직이 필수다. 이러한 차원에서 지난 해 말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권고안을 내고 원활하고 지속적인 미래교육 혁신을 이끌어가기 위한 민관 협력의 선순환적 생태계와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한해 감염병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원격수업이 예외적으로 추진됐지만 혼란이 적지 않았다. 초기 시스템은 불안정했으며 부족한 사항을 제대로 점검하지 못했다. 교육부 내 대응 조직이 갖춰지고 여러 과가 함께 대응하면서 차츰 안정화됐다.
원격수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한국판 뉴딜 사업의 중점과제로 추진하는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도 제대로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미래교육 전환과 보조를 맞춰야 한다. 학령인구 감소와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교원양성체제 개편도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다. 미래교육을 고려하지 않고 공간을 혁신하는 것은 단기 시설 개선 사업에 그치고 만다. 기존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을 유지한 채 공간만 혁신한다면 좀 더 쾌적한 공간이나 디지털 환경을 조성할 뿐 미래 학교라고 부르기 힘들다.
미래교육 전환이라는 대과제를 놓고 현장과의 소통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포스트 코로나 교육대전환을 위한 대화를 수차례 진행하며 각계 목소리를 듣고 미래교육 10대 정책과제를 수립했다. 이를 큰 틀에서 항시적으로 운영하고 반영할 조직이 필요하다.
교육계는 '미래교육추진단(가칭)' 신설 작업이 교육부 내에서도 과나 팀별로 분리 추진되던 정책을 칸막이 없이 통합·연계하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올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대비해 조직 정비를 해야 하는 시기다. 인공지능(AI) 관련 교육 정책 발표에 대한 후속조치와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원 양성, 연수 과정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
에듀테크업계는 미래교육 실행조직으로서 교육부 내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할 것을 주장했다. 그동안 정부의 미래교육포럼이나 4차산업혁명위원회 에듀테크 활성화 태스크포스(TF) 등에서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게 제기됐다. 이제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체제의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보다 실질적이고 정교화된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미래교육은 공교육, 민간교육, 직업교육 등 모든 교육 분야가 연계 활용된다.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 등 다양한 전문가 참여와 협업이 이뤄져야 한다.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다양한 부처가 관여된 만큼 정부의 통합계획을 수립하고 부처 간 정책 조율에 나설 거버넌스가 뒷받침돼야 한다.
이광세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이사는 “민간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이나 정책의 활용사례를 만들어주는 환경을 구축하고 에듀테크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거버넌스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