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서비스 부문 새 일자리를 약 30만개 창출하겠다고 한다.
오는 2025년까지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60% 초반에서 65%까지 높이고 '서비스산업 발전 4+1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는 게 골자다.
특히 산업 구조가 비대면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디지털 생태계 전환을 위해 스마트 시스템 등을 대거 도입한다. 미래 신기술로 불리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활용 서비스 기업에도 다양한 혜택을 준다. 그 외에도 자동화 설비를 갖춘 스마트 물류센터를 250곳으로 확충하고, 맞춤형 투자를 지원하는 핀테크 혁신펀드도 5000억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부 정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문 인력 양성보다는 인프라 등 하드웨어(HW)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업 HW가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핵심인 '뇌'의 역량을 길러야 한다.
디지털 전문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비대면 기반으로 산업 체질 개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유관 전문 인력을 얼마나 확보하고 기르느냐가 핵심이다.
우리나라에 불어닥친 고용 한파는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10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고, 지난 199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고용지표를 기록하고 있다.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
획일화한 일자리 창출은 국가 빚만 늘게 하는 악순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보다 앞서 정부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한계가 있다. 대부분이 단기 계약직이나 단순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 채용에 그치고 있다.
이제 정부는 디지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10만 디지털 양병' 전략을 짜야 한다.
이미 국내 대기업을 비롯해 금융사, 빅테크 기업이 핀테크 전문 인력 양성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육성 랩(연구소)을 운영하거나 중장기로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시드머니를 뿌리고, 협업체계를 갖추고 있다.
정부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우리 산업의 암흑을 걷어 내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민간이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툴을 활용해야 한다. 민·관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 인력 양성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디지털 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 수립과 시드머니를 투입해야 한다.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