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267>이노베이션 피트

피트(Fit). 굳이 우리말로 하면 '어울리는 정도'이다. 별거 아닐 것 같지만 실제로는 숨은 조정자다. 생산성이란 걸 보자. 설명 이론으로 몇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인적자본이다. 더 양질의 이것을 확보하고 있으면 생산성은 높아지고 더 높은 임금으로 보상받는다.

다른 시각도 있다. 인적자본이 중요하되 다가 아니다. 개인 역량이 기업의 필요성과 잘 '피트' 돼야 생산성으로 발현된다. 그러니 인적자본은 드러난 것이지만 '피트'는 무대 뒤에서 암약하고 있는 셈이다.

개인에게만 피트가 중요한 게 아니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그까짓 거 만들면 되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과연 그럴까. 사실 이것을 어수룩하게 봤다간 큰코다친다. 내로라하는 글로벌 기업도 줄줄이 인수합병(M&A) 후 저성과로 쩔쩔매는 형편이다.

어느 전장기업을 한번 보자. 미국 다트머스대 비자이 고빈다라잔 교수의 표현을 빌리면 이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아래로부터의 급진적 혁신, 다른 하나는 기민한 리더십이었다. 개발팀이 대담한 목표를 세우면 경영진은 위에서부터 회사 전체의 변화를 조정했다. 조직으로 하여금 전통적인 사고를 우회하고 새 논리를 제품에 통합되게 허용했다.

고빈다라잔 교수는 이 방식을 두 쌍의 네 가지 특징으로 묶어 설명한다. 우선 프로젝트 레벨에서는 급진적 목표, 유연한 조직 설계, 신구 조직의 역량과 자원 교차, 기존 사고와 충돌을 두려워하지 않는 혁신이 아래로부터의 급진적 변화를 상징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경영진은 다른 방향에서 이 혁신에 조응한다. 첫째 기업의 미래는 항상 다시 쓰여야 하는 것이라 인식했다. '미래는 다른 곳에 있다'는 캐치프레이즈는 많은 걸 말해 줬다. 역량은 개발도상국으로 돌렸다. 연구개발(R&D)도 신시장에 초점을 맞췄다. 심지어 로컬팀이 본사와 충돌하자 로컬팀 손을 들어 줬다.

모든 기능을 절반의 가격과 3분의 1 비용으로 제공한다는 건 누가 봐도 급진적 목표다. 자원은 지금의 수익 흐름이 아니라 미래 수익을 보고 흘러야 한다는 건 통념에 거스르는 것이었다. 단기 수익 목표가 혁신 목표를 흔들어선 안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신생그룹과 기존 팀들을 연결하는 통로를 만들었다. 기존 부서와 신생팀 간 협력은 성과 목표 및 인센티브로 수용, 마찰을 줄였다. '신흥 시장 프로젝트 팀을 얼마나 지원했나'를 연간 성과 검토에 반영하기조차 했다.

미국의 전장 전문기업 하만의 성장은 이렇게 혁신으로부터 왔다. 이 방식은 '사라스(Saras)'로 불렸다. 산스크리트어로 '적응'(Adaptable), '융통'이라는 뜻이다. 결국 비결은 시장과 역량, 실행과 전략, 신생팀과 기존팀의 '피트'인 셈이었다.

기업의 혁신 사례를 보면 설명 못할 일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는 왜 혁신은 지속되지 않는가이다. 마치 조조·유비·손권이 죽고 동시대 영웅들이 죽은 후 삼국지가 그만그만한 이들의 무대로 전락하는 것처럼 한때의 혁신기업이 얼마 지나지 않아 언제 그랬냐는 듯 멈춰선다. 퀜틴 윌슨의 '멋진 자동차들'이란 도감을 한번 보라. 그 멋진 디자인이 즐비하던 기업도 곧 시들고 창의성을 잃는다.

가려진 차원에 숨겨진 혁신 조정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서야 어찌 이해할 수 있겠는가. 피트를 잘 유지하고 루틴을 잘 가꾸라. 이것 없이 혁신을 제 손안에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건 분명 과신 아니겠는가.

[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267>이노베이션 피트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jpark@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