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AI)' 기술 학문 수준이 미국, 중국에 이은 3~4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비전 AI 기술은 AI를 기반으로 얼굴인식, 객체인식 등을 수행한다.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련 자율주행 기술뿐 아니라 로봇, 의학, 보안, 게임 등 활용 분야가 다양하다.
그러나 실무 인력이 부족하다는 산업계 목소리는 이어지고 있어 정책적 지원을 통한 해결이 필요한 상황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인식 학술대회(CVPR) 2021'에 논문을 제출·채택된 국가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3위를 기록했다.
CVPR 2021은 3대 컴퓨터비전 분야 국제 학술대회 중 하나로 올해는 총 12개 세션 1601개 논문을 채택했다.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등 학계뿐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 LG 등 기업이 제출한 논문이 채택됐다.
가장 많은 논문이 채택된 국가는 중국으로 42%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은 23.7%로 2위를 기록했으나, 의미 있는 논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CVPR 2021 시상위원회 위원을 맡았던 이경무 서울대 교수는 “한국은 최근 몇년간 CVPR뿐 아니라 국제컴퓨터비전학회(ICCV), 유럽컴퓨터비전학회(ECCV)에서 3~4위를 이어왔다”며 “1~2위와 격차가 있지만 인구 비례로 봤을 때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업계는 컴퓨터 비전 AI 인력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무 투입을 위해선 박사급 인력이 필요한 데 국내 AI 인력 양성이 본격화된 게 이세돌-알파고 바둑 대전이 있던 2016년이기에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 학계와 산업계가 바라보는 지향점이 다르다는 점에서 정원을 늘리고 동시에 커리큘럼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또 기업에서 업무에 버금가는 실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AI 관련 설비 확충도 필요하다.
대기업 AI 담당자는 “일부 글로벌 기업이 데이터 셋을 공개 배포하지만 설비가 뒤처지는 대학에선 사실상 활용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산학 프로젝트나 인턴십이 대안이지만 국내 환경이 좋지 않아 우수 인력이 국내가 아닌 해외 인턴십 등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AI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및 이용 지원도 고민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AI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대학이 자체 설비 구축만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대다수 대학이 설비 증설 한계에 도달했다. 투자 여력이 없는 곳도 있고 돈이 있더라도 공간의 제약이 있으며 전력 소비량도 감당 못할 수준에 와 있다”면서 “클라우드 시스템이 대안이지만 고가의 비용이 문제”라고 털어놨다.
국내 기업과 대학 간 산·학 프로젝트 확대도 요구된다. 대학은 실무 인력을 양성할 수 있고 국내 기업은 양질의 우수 인력을 선점할 수 있어 윈윈 효과가 있다. 또 AI 관련 학과 교수의 사기업 겸직도 활성화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뛰어난 인력을 교수로 채용할 수 있고, 학생들도 해당 기업에서 일찍이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정부가 AI 인력 양성을 위해 예산을 지속 투입하고 있고 학문적으로 성과를 내고있으나 산업계가 요구하는 실무 인력을 대학이 배출하기 위해선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