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3년까지 3년간 신산업 창업기업에 창업예산의 40%를 집중 투입한다. 기술 기반 창업기업을 연 23만개에서 28만개로 늘리는 것이 목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일 열린 중소기업정책심의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을 심의·확정했다. 향후 3년간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창업국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창업정책 청사진을 담았다.
중기부는 △혁신·신산업 분야 창업 활성화 △협력과 상생 기반 혁신창업 육성 △지역기반 건강한 창업생태계 조성 △교류 및 기술창업 저변 확대 △창업정책 총괄·관리·강화 △창업 친화적 제도 기반 마련을 6대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신산업 분야 창업기준과 범위를 새로 마련한다. 신산업 창업에는 창업사업화 예산 가운데 40% 이상을 집중 투입한다. 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BIG3),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탄소중립 등 유망분야 창업을 집중 지원한다. 기존 창업 7년차 기업까지만 이뤄지던 사업화 지원도 10년차 기업까지 확대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연구소 기반 기업 등은 연구개발(R&D) 등에 긴 기간이 소요된다는 목소리가 있어 지원 기간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팁스 프로그램, 사내벤처 등 민간과 협력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도 확충한다. 대기업이 과제를 제시하고 스타트업이 해결하는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4차산업혁명,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BIG3 분야로 나눠 올해부터 운영을 개시한다. 글로벌 해외실증(PoC) 사업도 신규 지원한다.
지역 기반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역창업 중심 거점으로 개편하고, 올해 열리는 스타트업 축제 K스타트업은 참여 부처를 더욱 확대한다.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해 △창업교육전문가 양성 △기업가정신 스쿨 운영 △창업교육 거점 대학 중심 협업체계 마련도 동시에 추진한다. 이 밖에도 창업 휴학의 법적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중기부에서는 향후 3년간 매년 기술창업기업이 28만개 이상 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창업기업의 5년 생존률을 기존 31.2%에서 4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제2벤처붐과 창업열기를 우리 경제 혁신과 일자리 창출 원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혁신스타트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우리나라를 세계 최고 혁신 창업국가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이날 열린 중기정책심의회에서는 △2021년 중소기업 지원사업 성과평가 및 사전협의 결과 △중소기업 지원사업 관리제도 개선 방안 △기술창업 규제 개선방안 등 4개 안건이 심의·의결됐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