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스마트공장과 디지털 헬스케어, 메타버스 등 융합서비스 역량을 갖춘 5G플러스(5G+) 전문기업 1800개사를 오는 2026년까지 육성한다. 5G 융합서비스 확산의 구심체 역할을 할 한국형 '5G 민·관 프로젝트'(5G PPP)가 가동되면 5G+적용 산업 현장은 2600개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5차 범부처 민·관합동 5G+ 전략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5G+융합서비스 확산전략'을 의결했다. 전략은 세계 첫 5G 상용화와 전국망 구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인프라 융합·응용에 초점을 맞췄다. 국민 생활과 산업생태계 곳곳에 5G 기술이 스며들도록 전략 분야를 선정하고, 민·관 협의체 구성을 통해 소통·협의 체계를 갖추는 게 골자다.
전략 당면 과제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감안해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 격차 해소, 국민안전과 소상공인 보호 등 분야에 5G 적용을 앞당기는 한편 국민 체감을 높이고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위한 5G 적용 전략 분야로 △초실감 비대면 교육을 위한 스마트 스쿨 △산업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재난 대응을 위한 이동형 의료서비스 △사각지대 없는 치안 서비스 △코로나19 피해 경감을 위한 메타버스 마켓 등을 선정, 5G 응용기술을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스마트공장과 자율주행차, 실감콘텐츠,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 5G+ 5대 핵심서비스 중심으로 실증 사업 결과를 본사업으로 본격 확장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한다. 5G 특화망 활성화를 통해 비통신 기업도 자유롭게 5G 응용기술을 활용해서 산업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는 한편 5G 업무망 등 정부 사업에 5G를 선도적으로 적용, 산업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유럽연합(EU)이 운영하는 5G PPP 모델을 참조해 5G 기반 스마트도시, 스마트교통, 스마트공장 등 서비스 분야 기업이 산업 실무 현장에서 직접 기술을 교류하며 융합서비스 모델 개발에 협력할 구심체를 결성할 계획이다. 5G 서비스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한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전략은 디지털뉴딜 핵심 인프라인 5G를 적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산업을 혁신하는 다양한 성공사례를 구축, 국가적인 디지털전환에 촉진제 역할을 할 지원체계 확립에 초점을 맞췄다. 정부가 5G+전략위와 실무위원회 등을 통해 현장 의견을 지속 수렴해서 전략을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는 것은 과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 과제”라면서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정부, 융합서비스 확산전략 마련
-
박지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