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는 우리나라가 위성통신 핵심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서둘러야 하는 또 다른 이유로 '주파수'를 손꼽았다. 안정적 통신을 위해 위성주파수를 조기에 확보·선점해야 글로벌 표준과 산업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과기정통부는 저궤도 통신위성 발사·운영을 위해 위성통신용 주파수를 2022년부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등록을 추진할 계획이다.
ITU는 위성이 지구를 순환하는 경로인 궤도와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를 패키지로 분배한다.
홍인기 경희대 교수(위성통신포럼 주파수분과 위원장)는 “미리 대응하지 않는다면 우수한 주파수와 궤도를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라며 “위성 주파수는 선점이 국제 원칙으로 위성 강국인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이 주파수를 선점하면 주파수 간섭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하는 등 어렵고 복잡해진다”고 말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위성용 '황금주파수'와 궤도를 찾아 선점할 경우에는 위성통신 경쟁력이 배가될 수 있다는 의미다.
현재 위성통신용 주파수로는 관제용으로 S대역(2∼4㎓), 데이터 다운로드 용도로 X대역(8∼12㎓), 위성통신용으로 Ku대역(12.5∼18㎓) 등이 거론된다. Ka대역(26.5∼40㎓)은 광대역 위성통신, Q/V대역(30∼70㎓)은 6G 위성통신 주파수가 될 것으로 유력 검토된다.
전문가는 다양한 위성 주파수 중에서도 5G와 연계성 등을 고려해 Ka대역에서 황금 주파수를 찾는 게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ITU는 한 국가가 위성용 주파수와 궤도를 국제등록 신청 시 3년가량 기간을 거쳐 분배한다. 정지궤도위성의 경우 약 7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짧은 시간 내에 글로벌 표준 주파수와 우수한 궤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
박지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