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기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이 외교부가 신설하는 초대 정보통신기술(ICT)대사에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20대 국회부터 필요성이 제기돼 왔던 과학기술·ICT 대외직명대사를 조만간 제청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16일 “대외직명대사는 명예직으로, 과학기술 외교 업무를 맡을 예정”이라면서 “각 분야에 9명의 대외직명대사가 있고, 총 10명까지 둘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과학기술·ICT 분야 대외직명대사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임명 시기는 아직 말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대외직명대사는 외교부가 국제안보, 경제통상, 문화협력, 인권사회 등 10개 분야에 임명할 수 있다. 정부 대표나 특별사절에게 대사의 대외직명을 부여하는 제도다. 임기는 1년을 원칙으로 한다. 필요하면 1년 연장, 2년 동안 역할을 수행한다. 외교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민 전 차관은 과기정통부 2차관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뉴욕주립대 총장직을 맡고 있다.
과학기술·ICT 대외직명대사는 대외 홍보, 국제사회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외교관과의 네트워킹을 담당하게 된다. 국회에서 주장해 왔던 특임공관장직 실리콘밸리 상주 등은 하지 않으며, 국내에 머물면서 필요시 해외 출장 등을 통해 과학기술 외교 업무를 한다.
국회는 지난 20대부터 '과학기술·ICT 대사 신설'을 주장해 왔다. 20대와 21대에서 관련 법안이 발의됐다. ICT 강국이지만 기술외교 대응에서 취약국이었다는 판단에 따라 과학기술 대사 신설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20대 국회에서는 당시 정병국 미래통합당 의원이 관련 내용을 담은 '외무공무원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고, 21대에서는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법을 제안했다. 이를 두고 외교부와 과기정통부는 대사직 신설을 두고 논의했지만 기존 제도를 활용키로 했다.
ICT대사 신설은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외교의 일환으로 그동안 줄기차게 제기돼 왔다. 외교부는 지난 6월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를 출범했다. 과학기술외교정책, 데이터·정보통신·인공지능, 우주, 탄소중립 4개 분과 정책 방향도 논의키로 하는 등 과학기술 외교 역량 강화 노력을 하고 있다. 변재일 민주당 의원은 “외교부에서 과학기술·ICT 대사를 임명하기로 했다”면서 “4차 산업혁명 등 기술 경쟁 심화와 신흥 안보 위협 증대 등 과학기술 외교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