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어드벤처' 국내 게임산업

[ET톡]'어드벤처' 국내 게임산업

1980~1990년대를 주름잡은 어드벤처 게임의 인기 요소는 서사였다. 당대 최고 기술을 집약, 스토리텔링에 집중했다. '킹스퀘스트'를 비롯해 '원숭이 섬의 비밀' '가브리엘나이트' '미스트' '그림판당고' '라스트익스프레스'에 이르기까지 지금도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는 명작이 그랬다.

어드벤처 게임은 '장'(챕터) 개념을 활용했다. 이야기를 분절시켜서 이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거나 몰입을 이끌었다. 사실 저장용량 문제 때문이었다. 기술이 발전한 지금도 어드벤처 게임은 챕터를 활용해 이야기를 마무리하거나 이야기 무대를 옮겨서 주의를 환기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이용자가 지금까지 이야기나 감정을 정리하고 다음 챕터, 다음 이야기를 향해 나아가는 공간이자 시간이다.

올해 강제적 셧다운제가 폐지되는 모습을 보면서 한 챕터를 플레이한 느낌이 들었다. 10년짜리의 긴 챕터였다. 게이머로서 격정을 표출했고, 기자로서 이슈를 주도했고, 관찰자로서 상대 논리를 지켜봤다. 만감이 교차했다. 게임 이용자는 강제적 셧다운제가 도입될 때 게임 업계에 힘을 보탰다. 의견을 개진하기가 부담스러운 게임사를 대신해 자발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밤샘 집회를 진행했다. 셧다운제를 강화하고, 게임사의 매출 1%를 중독세 명목으로 강제 징수하는 법안이 발의됐을 때도 업계를 응원했다.

지스타 보이콧도 지지했다. 확률형 아이템 때문에 게임업계에 등을 돌린 이용자는 셧다운제 폐지를 놓고 다시 업계와 같은 목소리를 냈다. 극적 요소를 갖춘, 실로 더할 나위 없는 엔딩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국회, 정당이 저마다 이해관계가 맞아 통과된 것이겠지만 모두 현명한 판단과 멋진 연기를 펼쳤다.

셧다운제는 매출과 상관없는 규제였다. 그러나 게임 인식을 '법으로 규제하는 나쁜 것'으로 만드는 근원이었다. 공부를 방해하는 나쁜 것이라는 논리를 완성하는 1등 공신이었다. 국회가 정부 기관의 활동을 돌아보는 국정감사장에 게임사가 불려가 같잖은 논리를 들이밀어도 하소연할 수 없게 한 원죄였다. 이 같은 규제가 사라지면서 게임산업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지금은 챕터 하나가 끝난 뒤 다음 챕터를 기다리는 로딩 기간이다. 역사가 길지 않은 우리 게임산업은 늘 어드벤처 게임을 플레이하듯 도전받고 위기를 겪지만 결국 클리어해서 로딩 화면을 지켜보며 전열을 정비했다. 다음 챕터에는 확률형아이템, 양산형 게임, 사전검열, 해외사업자 대응, 게임사 조세 혜택, 아케이드 부활, 웹보드게임 규제 일몰, 소셜카지노, 게임이용장애, 새로운 수익 모델, 사행성, 글로벌 공략 국산 AAA급 게임 등 어느 때보다 다양한 소재와 강도 높은 갈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신기술·신사업이 게임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동력이 될 것이다. 산업계 스스로 게임 제작과 유통이라는 업의 본질을 지키면서 새해와 앞으로 10년 기간에도 새로운 챕터를 써 주길 기대한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