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연구개발(R&D)에 약 2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100대 핵심전략기술을 수정해 대내외 기술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첨단산업 세계공장화'를 위한 세계 수준의 소부장 클러스터도 육성한다. 43개 소부장 으뜸기업과 5개 특화단지에 대한 지원정책도 올해 실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올해 소부장 정책 추진 방향 등 6건의 안건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기업 간 협력사업(모델) 승인에 관한 건 △2022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제2차 소부장 으뜸기업 지원방안 △소부장 특화단지 세부 지원계획 △글로벌밸류체인(GVC) 재편대응 특별위원회 경과 및 향후 계획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 지원성과 및 운영계획 안건이 승인됐다.
산업부는 올해 소부장 R&D에 약 2조30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우선 핵심전략기술을 확실하게 자립시키고 미래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소부장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2019년 이후 변경이 없었던 100대 핵심전략기술을 재편한다. 백신과 첨단바이오 분야 4개 기술을 핵심전략기술에 우선 추가한다.
또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을 위한 특별조치법(소부장 특별법)'을 개정해 소부장 범위에 광물 등 원재료까지 폭넓게 반영한다. 공급망 취약점 진단과 개선에 특화된 지원정책을 추가한다. 올해 안에 핵심전략기술에 특화한 으뜸기업, 강소기업·스타트업을 각 20개씩 추가 선정한다. 1000억원 규모 소부장 정책펀드도 추가 조성한다.
해외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협력모델을 포함한 협력모델을 20개 이상 발굴한다. 우수 소부장 제품 판로 지원을 위한 공공 수요 예보제, 수요·공급기업 상호 정보도 제공한다.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화를 위한 글로벌 수준 소부장 클러스터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5개 특화단지 내 협력생태계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소부장 특화단지를 첨단투자지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유턴기업 소득 법인세·관세 감면 기한을 지난해에서 2024년까지 3년 연장하는 등 투자 관련 인센티브도 확대한다.
지난 1월 선정된 2기 소부장 으뜸기업 21개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도 확정했다. 21개 소부장 으뜸기업에 세계 최고 수준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기업 컨소시엄당 연간 최대 50억원 규모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 연내 20개 이상 소부장 으뜸기업을 추가로 선정해 2024년까지 으뜸기업을 100개로 확대한다.
5개 소부장 특화단지 세부 지원 계획도 확정했다. 계획이 확정된 소부장 특화단지는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이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이다. 이들 특화단지에 대해 △단지별 패키지형 기업 지원 △공급망 관리 △규제특례 △지재권분쟁대응센터 △기술나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밸류체인 완결형·기술 자립형 클러스터화'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5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상생모델 사업을 승인했다.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목적기반 차량(PBV) 소재, 차량이송 자율주행로봇용 광학센서·부품 등 협력모델을 발굴한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백신-첨단바이오 등 우선 추가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