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업이 젊은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잇달아 임금을 높이고 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직원 11만명을 보유한 삼성전자의 지난해 평균 임금이 전년 대비 13% 증가한 1440만엔(약 1억4200만원)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일부 상위 기업은 기본급의 10개월분을 보너스로 지급하는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닛케이는 기존 임금체계에 젊은 사원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한국의 대기업에서 능력에 따라 급여를 지급하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삼성전자, 네이버 등을 중심으로 '공정한 보상'을 요구하는 젊은 층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실적에 따른 상여금 등이 다른 회사로 퍼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닛케이는 한국 기업이 일본식 연공서열을 기본으로 임금체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높은 경제성장률이 노동자의 소득 증가로 이어졌다고 봤다. 한국의 지난 20년간 임금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상위권인 44%다. 하지만 업종·기업 규모에 따른 급여 차이가 크다고 진단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의 최근 5년간 평균 연봉성장률은 각각 35%, 36%, 85%다. 하지만 현대자동차는 2% 수준에 그쳤다. 닛케이는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강한 자동차 산업이나 철강·화학 등 중후장대 산업은 반도체·인터넷 등 첨단기술 산업과 비교해 수익률이 낮아 임금 인상률도 낮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삼성, SK 등 대규모기업집단(재벌)이 높은 임금으로 우수 인재를 흡수하면 산업 생태계의 토양인 스타트업이 인력난에 허덕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경제 전체의 활력이 저하하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신문은 세계적 물가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늘어난 상황에서 이어지는 대기업의 임금인상 도미노 현상이 한국 사회의 격차 확대와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