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데이터 전문기업들이 정부에 기업이 필요로하는 수요 중심의 데이터 공급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23일 서울 강남구 마블러스에서 AI·데이터 기업과 '제 1회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박 차관은 정보통신기술(ICT) 현장에서 민간과 국정과제 관련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매주 또는 격주로 기업인을 만날 예정이다. 첫번째 현장으로 AI·데이터 분야 기업인을 만나 데이터 정책 혁신 방향과 디지털플랫폼정부 고도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청취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디지털뉴딜 사업으로 구축한 학습용 빅데이터 등 데이터정책과 관련, 기업 수요 고려와 활용도 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중점적으로 전달했다.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기업이 스스로의 활용도를 위해 구축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가 되지 못한다”며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데이터가 시장경제를 고려하고, 기업이 고민하는 문제를 해소하면서 갈 수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와이즈넛 대표는 “데이터 효용성을 어떻게 가져갈거냐의 문제”라며 “학생과 연구자 측면에서 상당히 많은 연구인력이 정부가 구축한 데이터를 통해 양성되고 있다”며 “이와 같이 철저한 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해야 활용을 제안하고 활성화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활용과 가이드라인에 대한 아이디어도 제시됐다.
송영기 스프링클라우드 대표는 “정부가 방대하게 구축한 학습용 데이터를 활용하는 플랫폼 사업 사업을 아디이어 공모를 정부에서 제안해보면 좋겠다”며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부문별 도메인별로 해서 플랫폼 서비스를 실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박용성 에이젠글로벌 부사장은 “AI 금융서비스를 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규제로 인해 고려해야할 사안이 많다”며 “데이터 활용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대표들은 병역특례와 관련, 9시 출근·6시 퇴근 엄격한 시간 규제 대신 유연근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대기업으로 인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스타트업 직원에 대한 복지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 차관은 “기존 데이터 구축 위주 사업에서 활용 쪽으로 정책의 틀을 바꿔나가고 있다”며 “격의없는 토론을 통해 현장에서 호흡하면서 정책을 구체화하며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전면 공개 형태로 진행됐다. 박 차관은 디지털 플랫폼 글로벌 진출 지원, 메타버스 법제도 및 미디어 규제 개선, 디지털 인재 양성, 혁신네트워크 고도화 방안 등 디지털 정책 전반에 대해 연속해서 논의할 예정이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