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핫이슈]MBTI와 우생학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상대방의 성향을 읽고 그 생각을 예측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상대방을 예측해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등 많은 장점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상대방 생각 또는 심리를 예측하거나 분석하는 기법도 계속해서 등장해 왔다. 대표적인 것이 4개의 알파벳으로 인간의 성격을 정의한 'MBTI'다.

MBTI는 스위스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이 1921년 발표한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발전한 성격유형 검사 도구다. 인간 성격을 외향(E)과 내향(I), 감각(S)과 직관(N), 사고(T)와 감정(F) 등 6가지 기준으로 나눠 분류하는 것이다. 에너지 방향이 외면과 내면 중 어떤 방향으로 향하는지, 정보 인식 상황에서 구체적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지 또는 직관에 의존하는지 등을 판단하게 된다.

미국에서 검사 도구화된 이 기법은 이 같은 판단을 위한 총 93개 문항을 통해 각각의 성향 중 자신에게 가까운 알파벳 4개를 조합하며 이는 저마다 각기 다른 총 16개 유형 결과로 나온다.

최근 MBTI는 일종의 문화로서 사회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 성격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명료한 해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상생활은 물론 조직사회에서도 자신을 나타내거나 상대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 추세다.

다만 이러한 활용에 있어 과학적 근거가 매우 미흡하다는 점은 주의할 부분이다. 과학계는 각자 다른 환경에서 생활함에 따른 다양한 상호작용과 이에 따른 개별적 반응으로 인해 성격이나 행동을 유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점에서 MBTI는 혈액형을 기반으로 성격을 판단하는 '우생학'과 유사점을 보인다.

혈액형 성격설은 카를 란트슈타이너 박사의 혈액형 최초 발견 이후 독일 우생학자 에밀 폰 둥게른 박사가 연구 논문을 통해 혈액형에 따른 인종 우열도를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이것을 토대로 혈액형과 성격 간 상관관계 억측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신뢰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혈액형은 항원항체 반응 일종으로 개인의 성격에 아무런 영향을 끼칠 수 없다는 점이 곧 밝혀졌다.

MBTI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한 대표적 예로는 '일란성 쌍둥이'가 있다. 쌍둥이의 뇌 구조는 기본적으로 유전적 유사성을 나타내지만 뇌 각 부위 활동에 있어서는 환경적 영향이 매우 크다는 보고가 이미 뇌 과학계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더욱이 성격을 관장하는 뇌는 그 모양이나 기본적 기능을 위한 구조는 같지만 실질적인 기능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분포도는 인간마다 다른 '뇌 지문' 특성을 갖는다. 즉 인간의 성격유형은 사회적·환경적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정적 결과물로서 통계학에 가까운 MBTI를 신뢰하기란 어렵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임상 현장 등에서는 MBTI가 아닌 다른 인성 검사 도구를 활용한다. 정신 병리 진단을 위한 대표적인 검사인 MMPI 등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