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바이오 분야 기술혁신 가속화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을 7일 발표했다.
이번 혁신전략은 △디지털바이오 신기술·신산업 창출 △디지털바이오 기반 기술 확보 △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 확산 △디지털바이오 육성 생태계 조성 등을 골자로 한다.
이는 최근 바이오 기술이 국가 안전 및 번영과 직결됨에 따라 미국, 중국 등 글로벌 국가의 기술패권 경쟁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혁신전략은 '바이오 대전환 시대, 디지털바이오로 2030 바이오 선도국가 진입'을 비전으로 5대 인프라-12대 핵심기술 확보를 우선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10년간 4000억원 규모 첨단뇌과학 분야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 뇌 기능·질환 시각화, 뇌 신호 측정·해석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자약, 디지털 치료제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신개념 치료제 시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생체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칩이나 전자인공장기 등 바이오닉스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AI·빅데이터·로봇 기술을 활용해 바이오 연구와 제조공정을 자동화·고속화하는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부 공동 기획을 통해 3000억원 규모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 상태다.
데이터 기반 분석 제어기술 확보에도 주력한다.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제어·복원 기술의 효율을 2배 이상 향상하고, 줄기세포 분야에서는 조직별·세포 기원별 정보를 체계화한 줄기세포 유전체 지도(Atlas)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같은 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제어하는 기술도 확보할 계획이다.
또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후보 물질 발굴 플랫폼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신약후보 물질 발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생명체 빅데이터를 이용해 유전정보, 생체 기능 및 생명 기작을 설계·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기술인 휴먼디지털트윈 기술개발과 활용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국가 차원 바이오 데이터를 공유하는 허브 플랫폼도 구축된다. 바이오 전 분야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관리·공유하는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K-BDS)을 구축한다. 지난 10월 기준 약 146만건 데이터가 확보된 상태로 2026년까지 총 1780억원 예산을 투입해 데이터 관리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외 바이오 데이터 분석·활용 전문역량을 갖춘 바이오데이터 코디네이터 양성도 추진하는 한편 디지털 융복합 미래 의료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융합형 의사과학자(MD-Ph.D.) 양성도 내년부터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디지털바이오 육성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과 규제 개선 절차도 이뤄진다. 합성생물학 등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기술별로 법적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관련 법령을 제·개정하고, R&D 전략 수립부터 제품화까지 과정에서 규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민·관 합동 바이오 규제개선반도 본격 운영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혁신전략은 바이오 연구와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바이오 선진국 진입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패권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바이오 행정명령, 중국의 바이오 경제 5개년 계획 등 세계 각국 바이오 기술혁신 정책에 맞서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과 자립도를 높이는 생명공학 기술혁신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과기정통부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
-
이인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