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KT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가 지연되면서 경영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KT 이사회가 경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관련 규정을 준수하되, 최대한 신속한 선임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KT 안팎의 여론이 나온다.
20일 KT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구현모 현 KT 대표가 이사회로부터 연임 적격 판정 이후 셀프 경선을 신청하면서 향후 선임절차에 대한 여론 관심이 집중된다.
일각에서는 이사회 고민이 깊어지면서 CEO 선임절차가 해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차기 CEO 선임절차가 장기화될 경우 KT의 경쟁력을 저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KT 지배구조위원회 운영규정(제6조)에 따르면, 위원회는 대표이사 승계 및 대표이사 후보자 육성을 위해 사내·외 대표이사후보자군을 조사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위원회는 사외 대표이사 후보자군 구성을 위해 이사의 추천을 받을 수 있고 전문기관에 조사를 의뢰하거나 인선자문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같은 규정을 적용해 '추천' 또는 '전문기관 조사'로 신속하게 경선을 진행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통신 전문가는 “투명한 지배 구조를 위한 KT의 의지는 전달된 것으로 본다”며 “최대한 신속하게 차기 CEO 선임절차를 진행해 KT 경영 공백을 최소화하는 게 국내 ICT 시장 전반에 도움이 되는 길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KT는 인사와 조직개편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새해 경영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 LG, SK, 롯데 등 주요 그룹사들이 일찌감치 인사와 조직개편을 마무리하고 새해 경쟁을 준비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심지어 용산 대통령실 조차 효과적 새해 전략 준비를 위해 이번주 부처별 업무보고를 하는 상황에서 KT의 조직개편·인사는 해를 넘기는 게 기정사실화된 것이다.
KT CEO 선임 지연은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당장 5세대(5G) 이동통신 시장 마케팅 경쟁과 신사업 투자 등 중요한 의사결정이 지연될 수 있다.
KT는 연간 3조원 규모 설비투자(CAPEX) 비용을 투입하는 것을 비롯해 인공지능(AI), 헬스케어 등 디지털신산업 분야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투자 계획 확정이 지연될 경우 통신장비, 공사업계는 물론이고, AI 등 후방산업 타격을 야기할 수 있다. KT가 사무국 역할을 하는 AI·클라우드·ESG·디지털 시민 등 원팀도 의사결정이 지연되면서 지지부진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KT의 한 내부 관계자는 “차기 CEO가 확정되지 않으면서 많은 계열사와 임직원 역시 인사와 조직 개편의 불확실한 상황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 지배구조위원회 운영규정 제6조 (대표이사 승계 및 대표이사후보자군 구성)
① 위원회는 대표이사 승계 및 대표이사후보자 육성을 위하여 사내ㆍ외 대표이사후보자군을 조사하고 구성한다.
② 사내 대표이사후보자군은 회사 또는 계열회사 재직 2년 이상이면서 회사의 직급 기준으로 부사장 이상인 자로 구성한다.
③ 위원회는 사외 대표이사후보자군 구성을 위하여 이사의 추천을 받을 수 있고, 전문기관에 조사를 의뢰하거나 인선자문단을 구성할 수 있다.
-
박지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