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지자체, 바로톡 대체 민간 협업툴 수요 전무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은 기사와 무관

공무원 전용 메신저 '바로톡'이 운영을 종료한 지 3개월이 다 돼 가지만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대체할 민간 협업툴 도입은 전무한 상황이다.

바로톡을 향하던 낮은 관심도와 이용률, 민간 협업툴 도입 비용, 다소 불편해도 이메일 등 대체 수단을 사용하겠다는 인식 등이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16일 행정안전부와 업계에 따르면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바로톡을 대체해서 도입한 민간 협업툴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 관계자는 “해양수산부에서만 관련 문의가 한 번 왔을 뿐 다른 곳에서는 민간 협업툴 관련 문의 자체가 없었다”고 말했다. 협업툴 기업 관계자는 “30~50개 행정기관에 연락해 봤지만 관심이 없었다”면서 “협업툴 없이 그냥 일한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행안부는 지난해 바로톡 운영 종료와 대체 서비스 예산 마련 등 내용을 담은 공문을 각 기관에 다섯 차례 발송했다. 이용 기관 대상 민간 메신저 도입 설명회도 두 차례 개최했지만 수요는 없는 상태다.

각 기관이 민간 협업툴 도입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것은 바로톡 이용률이 낮은 만큼 메신저나 협업툴에 기대감이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 사이 휴대폰에 설치된 메신저나 웹메일 등을 활용한 업무 처리 방식이 일상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 중앙부처 관계자는 “메일로는 자료를 여러 사람에게 한 번에 보내는 게 쉽지 않아 민간 메일로 파일을 보낸 다음, 카카오톡을 이용해 공유했다”며 “대부분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같은 민간 메신저를 쓰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민간 협업툴 도입에 따른 비용에 부담을 느껴 타 부처나 지자체 움직임을 관망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휴대폰 기반 메신저나 웹메일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면 업무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보안 사고 등 문제도 불러들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약 50만명의 공무원 수요가 민간으로 넘어오면서 공공 협업툴 시장이 활짝 열릴 것으로 기대한 기업들은 실망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네이버클라우드의 경우 협업툴 '네이버웍스'에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획득하며 시장 진출을 준비했지만 예측과는 다른 상황이 펼쳐지자 당혹감에 휩싸였다.

업계 관계자는 “업무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도 강화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협업툴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바로톡은 2015년에 도입된 공무원 전용 메신저다. 민간 메신저와 다르게 문서나 사진을 스마트기기에 저장할 수 없고, 보안 프로그램이 가동돼 앱이 느리게 구동돼 사용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정우택 국회부의장이 행안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앙·지방 공무원 59만명 가운데 가입자는 23만명(39.7%)이다. 지난해 접속 건수는 원자력안전위원회 27건, 방위산업청 33건 등 총 250만건에 불과했다.

〈표〉바로톡 가입 및 활용 최종 결과

출처=정우택 국회부의장실, 행정안전부

중앙부처·지자체, 바로톡 대체 민간 협업툴 수요 전무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