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수준과 투자 규모에 따라 기업별 인공지능(AI) 활용 수준이 달라질 것입니다.”
김유철 LG AI연구원 AI 부문장은 전자신문 주최로 27일 열린 ET테크리더스포럼에서 '초거대 AI 개념과 글로벌 연구 동향'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부문장은 “AI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전문가 AI 버티컬 시장이 열리고 있다”며 “현재 초거대 AI는 사실에 기반한 지식제공과 기업 내부 문서를 연계해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전문가 수준의 미래 예측과 비평, 근거 제시까지 할 수 있고, 최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준까지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더 발전하면 로봇과 결합돼 실제 생활에서 행동 실행까지 연계되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기업은 한국어를 잘하는 AI로 '한국형 AI'를 사용하거나, 실제 현장에 맞춘 차별적 기능을 제공하는 '전문가 AI(Expert AI)'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부문장은 앞으로 기업은 데이터 보유 수준과 투자 규모에 따라 AI 활용 수준이 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유 데이터가 많지 않거나 기업이 투자할 규모가 안 되면 제네럴 모델(General model), 데이터는 없지만 투자 여력이 있으면 수요 예측이나 전문 리포트를 제공해주는 인더스트리 모델(Industry model),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적극 투자할 수 있으면 기업에 특화시켜 커스터마이징 되는 엔터프라이즈 모델(Enterprise model)로 사용이 구분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문장은 “AI는 인간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니고 인간과 함께 진화해야 한다”며 “AI 시대에 도태되지 않으려면 어떤 유즈 케이스(Use Case)에서 AI와 협력할 것인지 정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나 개인 입장에서 AI를 활용해서 더 좋은 산출물을 만들 수 있으려면 AI를 대체할 것인지 AI를 활용할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며 “판단 후 AI에 필요한 학습·튜닝·참조 데이터를 미리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