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올 상반기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한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기존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에서 수소발전만을 지원하기 위해 분리한 제도다. 연료전지, 수소터빈, 수소엔진, 암모니아 혼소 등 다양한 수소발전 기술이 경쟁하도록 입찰시장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수소발전을 위한 전용 입찰시장 구축은 세계 최초다. 앞으로 5년 동안 수조원에 이르는 물량이 시장에서 거래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업계, 학계와 함께 많은 검토 끝에 수소발전 입찰시장 세부내용을 확정했다. 2020년 개념을 처음 공개할 당시 명칭은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였다. 이후 청정수소발전제도(CHPS)로 명칭을 바꿨고, 이달 확정된 최종 명칭은 '수소발전 입찰시장'이다. 추출수소·부생수소 사용을 허용하되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장점을 살리도록 한 '일반수소 발전시장', 그린·블루수소를 포함한 '청정수소 발전시장'으로 구분해 입찰하기로 했다. 정권이 바뀌고 에너지 정책도 급변하는 와중에서도 수소발전은 제도 원형을 유지하면서 시장 상황에 맞게 세부내용을 반영했다.
그러나 발전업계는 아쉬움을 표했다. 정부의 제도 확정을 기반으로 대규모 투자를 기다렸는데 입찰 물량이 생각보다 크지 않고 청정수소발전시장은 개설 시점이 늦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업계는 일반수소발전시장 물량이 부족한 것으로 진단했다. 산업부는 2023~2025년 일반수소발전시장 입찰 물량을 연간 1300GWh로 책정했다. 이를 설비용량 기준으로 환산하면 200㎿ 수준이다. 업계는 국내 연료전지 제조사의 입찰 물량만 600㎿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입찰시장에서 이 물량을 소화하기는 어렵다.
내년에 시작할 예정인 청정수소발전시장 입찰 시기가 늦다는 지적도 있다. 수소업계는 내년에 사업자들이 발전 물량을 낙찰받고 이후 투자 집행, 인프라 구축 과정을 거쳐 2027년 실제 발전하기까지 준비 시간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청정수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 인프라·사업 모델 결정 등이 까다로운 만큼 올해 청정수소 입찰을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세계 최초로 전용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는 만큼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정부는 제도의 큰 틀을 제시했지만 앞으로 시장 상황에 맞게 세부 내용을 조정해야 한다. 그동안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공들여서 설계한 정부가 업계 의견에 좀 더 귀 기울였으면 한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