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국빈방미]尹, 韓美동맹 미래는 '과학기술 협력'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한미동맹의 미래는 과학기술 협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국방·안보를 넘어 동맹의 새로운 미래 영역으로 과학기술을 꼽았다.

윤 대통령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반도체 연구 권위자인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 등 과학기술 석학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 때마다 해외 석학과 만나 과학기술에 대한 의견을 주고 받고 있다. 캐나다 토론대에선 인공지능(AI) 석학을,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에선 양자(퀀텀) 석학과 대담했었다. 우리나라 대통령이 MIT를 찾은 것도 처음이다.

이날 대담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의 사회로, 모더나 공동창업자인 로버트 랭거 교수, 합성생물학의 창시자 제임스 콜린스 교수, 컴퓨터 의공학 분야 권위자 디나 카타비 교수가 발제했다. 미국 '젊은 과학기술자 대통령상'을 수상한 뇌 매핑 분야 정광훈 교수, MIT 한국인 최연소 박사인 윤송이 엔씨소프트 최고전략책임자(CSO), 김영백 서울대병원장,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대담 직전 토머스 슐츠 MIT 생물학과 교수 안내로 단백질 구조분석을 위한 첨단 연구시설인 '극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살펴봤다. 생체분자 샘플을 극저온으로 동결, 조직 파괴 없이 전자빔을 쏴 이미지를 얻어 생체분자의 모양과 구조를 분석하는 현미경으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된다.

윤 대통령은 코로나19 펜데믹 1년 만에 백신이 개발된 것은 디지털 바이오의 힘을 보여준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스턴 혁신의 상징인 켄달 광장과 MIT, 디지털 바이오의 공통점으로 연결·융합·혁신을 꼽으며 “최고의 인재들이 모여있는 MIT에서 공학·의학·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디지털 바이오'를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싶다”고 했다.

또 AI(인공지능) 기술로 신약 개발 속도가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이 가능해졌다면서 “융합의 산물인 디지털 바이오 연구 결과가 어떻게 인류를 위해 긍정적으로 활용될지 함께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의학과 공학적 지식을 겸비한 의사과학자 양성 필요성도 함께 피력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대담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AI 등 디지털 기술과 의료 데이터를 접목한 바이오 연구개발 △의사과학자 등 융합인력양성 △바이오 연구 고도화를 위한 첨단분석장비 개발 및 활용 △디지털바이오 기술기반 스타트업 지원방안 등을 포함한 가칭 '디지털바이오 이니셔티브'(가칭)를 수립해 오는 5월 중에 발표할 계획이다.

보스턴(미국)=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