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근 장관 “식량주권 강화, 미래성장산업 기반 조성, 농촌공간계획법 등 1년 농정 성과”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농식품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제공=농식품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식량주권 강화와 미래 성장 산업 기반 조성, 농촌공간계획법 등을 3가지를 1년 농정 성과라고 평가했다. 혁신생태계를 공고히 하고 케이푸드플러스 수출 확대를 향후 과제로 언급했다.

정 장관은 8일 세종청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1년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우리나라 식량 해외 의존도가 세계최고 수준이어서 식량 주권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가루쌀 산업화와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해 식량 주권 강화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역대 최대 물량인 90만톤을 매입하는 대책을 가장 이른 시기에 발표하고, 과감한 격리 시행해 2021년 수확기 이후 지속 폭락 중이던 쌀값 반등에 성공했다. 2022년 수확기 대책 발표 직후 16.7% 반등했다. 또한, 가루쌀·밀·콩 등 전략작물 재배면적 증가, 가루쌀 대량제분 성공으로 산업화 가능성 증명했다.

정 장관은 “또 한축은 우리 농업 고령화에 더해 농업계 종사자 모두가 수세적이고 수동적인 분위기여서 이것을 깨야 겠다는 것이었다”면서 “청년 농업 포함. 푸드 테크, 그린바이오 산업단지, 스마트팜 등을 통해 미래성장산업 기반을 조성했다.

정 장관은 미래성장산업화의 동력확보를 위해 10년 만에 식량안보와 농식품혁신을 두 축으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해 전담조직을 신설하기도 했다.

또 한축이 농촌공간계획법이다. 정 장관은 “도시 지역은 용도 지역이 정해져있어 근본적으로 난개발 불가능하다”면서 “농촌 공간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장이 마을보호지구, 경관보호지구 등 7개 존을 설정해 농촌을 새로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농촌이 관광자원도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혁신생태계를 통해 미래성장산업으로서의 성과를 본격적으로 창출할 방침이다.

2027년까지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추진하고, ICT기업 등과 협력해 시설원예뿐만 아니라 경종·축산·과수도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한다. 온라인 도매시장 출범 등 유통의 디지털 전환도 함께해 나간다. 푸드테크·그린바이오·반려동물 연관산업 등 신산업 분야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를 위해 농식품 펀드를 연내 2000억 원, 2027년까지 1조 원을 추가 결성한다.

케이푸드플러스(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를 중심으로 2023년 135억 달러, 2027년 23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올해 아프리카 7개 국가에 케이라이스벨트(K-RiceBelt) 구축을 시작하는 등 농업 ODA를 확대하여 국격을 제고할 계획이다.

정황근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1년간은 국제공급망 위기 등 산적한 난제를 풀어나가면서 농업이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시기였다”면서, “국민과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보여드리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라는 의지를 밝혔다.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