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송신료 올려달라는 지상파, 콘텐츠 가치는 반토막”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상파 콘텐츠 가치는 떨어졌으나 이용대가는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용희 동국대 교수는 19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지상파 콘텐츠의 2013년 이후 광고시청률 탄력성, 이용률 변화 등을 고찰한 결과, 지상파 콘텐츠 가치가 52.69% 하락했고 지상파 FOD(무료 VOD) 가치는 68.69%나 떨어졌다”고 말했다.

김용희 동국대 교수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콘텐츠 거래 질서 확립 방안’
김용희 동국대 교수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콘텐츠 거래 질서 확립 방안’

유료방송업계는 지상파 콘텐츠를 받아 재송신한다. 대신 지상파에 가입자당 월 재송신료(CPS)를 지급하고 있다. 재송신료는 2012년 280원으로 시작해 계속 오르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에 채널당 500원 수준으로 재송신료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80원이었던 2012년 대비 지상파 채널 가치가 약 두 배 뛴 셈이다.

김 교수는 “유료방송플랫폼의 가입자 수는 매년 4.37% 늘어났고, SO 역시 2016년 이후 거의 줄지 않았았다”며 “지상파가 차지하는 시청률·FOD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사용대가를 높여 달라는 의견은 불합리”하다고 짚었다.

이어 “지상파 콘텐츠가 유료방송플랫폼의 상품성을 높이는 중간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김용희 동국대 교수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콘텐츠 거래 질서 확립 방안’
김용희 동국대 교수 ‘유료방송 시장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콘텐츠 거래 질서 확립 방안’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가 적정대가를 받지 못한다는 주장과 유료방송 플랫폼이 무한정 인상할 수 없다는 갈등이 매년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지상파 재송신료를 둘러싼 해묵은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2016년 ‘지상파방송 재송신 협상 가이드라인’을 제정했지만 실효성이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채널대가 산정기준안을 검토 중이다. 따로 시한을 두지 않고 사업자별 의견을 최대한 청취해 합리적인 근거 마련을 위한 제도 및 기준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교수는 “대가산정기준의 협상절차와 대가 산정의 고려요소만 규정하고 당사자 간 자율협상 안이 바람직하나, (지금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시청률 측정을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시청률을 비롯한 평가 데이터의 제3자 검증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