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1일 오전 6시 27분쯤 ‘우주발사체’라고 주장하며 쏜 발사체를 두고, 한국과 일본이 각각 발령한 경계경보 메시지가 내용과 시간 면에서 대조됐다.
한국은 이유 적시 없이 서울 대상으로 대피 명령만을 보내고 얼마 뒤 ‘오발령’이라고 재안내해 혼란을 가중한 반면, 일본은 한국보다 4분 빨리 안내 문자를 보내면서도 이유와 대피 장소 등을 명시했다.
NHK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6시 30분쯤 피해 예상 지역인 오키나와현에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통해 대피 명령을 전달했다. 발사 이후 단 3분만에 보내진 것이다.
이날 일본 정부의 대피 명령은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라는 제목으로 “미사일 발사. 미사일 발사.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된 것으로 보입니다. 건물 안 또는 지하로 피난해 주십시오”라는 짧지만 상세한 정보를 담았다. 이는 주요 TV 방송 속보와 오키나와현 주민들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전달됐다.
이에 반해 한국 정부는 일본보다 4분 늦은 오전 6시 34분께 서해 최북단인 인천 옹진군 백령도 일대에 “오늘 6시 29분 백령 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안내했다.
서울시에도 일부 지역에 사이렌 및 안내방송이 흘러나오며 거의 같은 내용의 문자메시지가 전달됐지만, 일본 안내 7분 뒤인 오전 6시 41분께 수신됐다. 해당 메시지에는 경보를 발령한 이유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고, 대피 장소 등 구체적인 대응 요령이 없어 시민들은 이유도 모른 채 공포에 떨어야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 트위터에는 경계경보 발령 이유와 대피 장소를 검색하는 이용자들로 한때 ‘경계경보’, ‘북한 미사일’, ‘지하철역’ 등이 검색어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22분 뒤인 7시 3분께, 행정안전부의 재안내가 이어졌으나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내용이었을 뿐 이때도 발령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7시 35분께 마지막으로 서울시가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위급 안내문자가 발송되었습니다.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해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시민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보내면서 마무리됐다.
일본은 지진이 자주 발생해 재난 경보 시스템이 비교적 잘 정비돼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은 경보가 해제된 이후에도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3시간 동안 북한 발사 소식을 전달했으며,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오전 7시 30분쯤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피해 상황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짧게 전했다.
다만 일본도 지난달 북한 미사일과 관련해 내린 대피명령에서 시행착오를 겪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13일 북한이 동해상으로 쏜 탄도미사일이 “훗카이도 주변에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대피경보를 발령했다가 이후 낙하 가능성이 사라졌다고 정정하기만 하고 경보를 해제한다는 별도의 통지를 하지 않아 혼란을 야기했다고 비판받았다. 이후 피난 지시 해제 문구를 추가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
서희원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