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리포트] 한국, 6G 민관협력 중심 주도권 선점전략 가동

6G
6G

한국은 글로벌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선점을 위한 정부 전략과 민·관 협력체계 준비를 완료했다. 정부는 6G 상용 기술 개발 활성화를 위해 6250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6G 포럼 등 기술개발 구심체 역할을 할 산학연 협력조직 가동에도 돌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네트워크 2030 전략을 수립, 그동안 원천기술 중심으로 추진해 왔던 6G 연구개발에 더해 관련 소·부·장 및 오픈랜 기술개발을 병행 추진한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6253억원 규모 연구개발(R&D) 예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안테나, 통신 프로토콜 등 6G 핵심 표준기술에 대한 전략적 개발을 통해 글로벌 표준특허 점유율을 30%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2026년에는 주요국 통신사, 제조사, 표준전문가, 장관급 정부관계자 등을 국내에 초청한다. 그 동안의 6G 연구성과를 시연하는 프리-6G 페스트도 개최할 계획이다.

정부와 여당은 네트워크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6G 통신 기술 R&D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키로 했다. 국회 논의를 서두르면서 예산 확보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통신업계 전문가들은 주문했다.

산·학·연 6G 기술개발 구심체인 6G포럼도 출범했다. 6G포럼은 SK텔레콤·KT·LG유플러스·삼성전자·LG전자·에릭슨엘지 등 주요 기업과 출연연이 대거 참여한다. 올해 말 6G 기술 표준화와 주파수, 서비스 전방위 영역에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한다. 올해말에는 6G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다.

통신업계에는 이동통신 세대 진화를 위해 최소 7~8년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은 2022년부터 본격적인 6G 준비 체계를 가동한 데 이어 2026년 시범 서비스, 2028~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효과적인 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6G 기술 개발을 위한 민간 표준화기구 3GPP 워킹그룹 의장에 한국인 2명을 배출하는 등 유리한 고지도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중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흐름과 기술 발전 수준을 고려해 시장에 발을 맞춘 6G 상용화 스케줄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