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안전관리 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대한 해킹 시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올해만 87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공격 발원지가 일본인 건수가 급증해 주목된다. 올해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본격 나선 가운데 국내 대표 오염수 방류 안전성 평가기관인 원안위가 해킹 표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원안위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원안위를 대상으로한 해킹 등 사이버공격은 총 87건(8월말 기준)이다. 월 평균 10건 이상의 해킹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점은 감안하면, 올 연말까지 120건 이상으로 집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에는 112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올해 눈에 띄는 점은 해킹 시도가 발생했던 IP 주소상 국가로 그간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던 미국와 중국이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일본이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2020년부터 3년간에 걸쳐 단 1건의 해킹시도만 있었으나 올해만 17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중국은 일본 보다 절반인 8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원안위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와 관련 해양방사능 검사, 다핵종제거설비(ALPS) 성능 분석 등 일본이 방출한 오염수가 우리나라 국민과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과학적으로 검증 평가하고 있는 대표 정부기관이다. 지난 7월 원안위는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계획에 대한 과학기술적 검토' 보고서를 발표, “일본의 처리계획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일본의 사이버공격이 급증한데 대해 원안위 측은 “현재 일본의 오염수 방출과 긴밀히 관련이 있다고 판단내릴 수 있는 근거는 없는 상황”이라며 “원안위의 각종 서버와 정보시스템 등은 현재 국정자원관리원 관제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이들이 해킹 시도 현황과 발원지까지만 파악해 보고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킹 유형별로 살펴보면 올해 정보유출 시도가 38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정보수집, 시스템 권한획득, 홈페이지 변조 순으로 나타났다.
윤영찬 의원은 “원자력 안전과 원전 규제를 담당하는 원안위가 해킹될 경우 관련 주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며 “단순 해킹이라 치부하며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니라 보안 취약점을 선제 발굴하는 등 예방 조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