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이상한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김희주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팀이 공동으로 광전극에 모듈화 기술을 적용해 대면적화가 가능한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탄소중립 시대에 각광받는 그린수소 에너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소 에너지는 생산방식에 따라 그레이·블루·그린수소로 구분하는데 그린수소는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되고 있어 수소 에너지 중 가장 친환경적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에는 물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반도체 광전극을 활용한 '광전기화학 물분해 방법'을 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페로브스카이트와 같은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높은 효율의 새로운 물질로 광전극을 제조하려는 연구들이 시도됨에 따라 고효율과 고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광전기화학 시스템의 실용화와 이를 통한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 대면적 광전극 개발이 필수적이다. 실제 태양광 아래에서의 현실 검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소자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커지는 저항 손실, 균일하지 못한 박막의 형성, 물질 내부의 결함으로 인해 대면적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은 높은 효율을 보이기 어렵다. 따라서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제작된 광전극을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은 면적이 넓어질수록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최적의 효율을 보이는 단위 소자의 면적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광전기화학 시스템의 대면적화를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평행하게 연결해 효율 저하가 최소화된 높은 확장성을 가진 즉, 쉽게 높은 효율의 대면적화가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모듈은 페로브스카이트 광양극과 광음극을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이어서 외부 전압이 필요 없는 무전압 조건에서 구동 가능하다. 이는 광전기화학 모듈 중 최초다. 총 16개 단위 소자를 연결해 제작한 4㎠ 면적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은 연구실 환경이 아닌 실제 태양광 환경에서 현실 검증을 진행했다. 실험실 환경의 91% 정도의 광량으로도 외부 전압 없이 11.52㎃의 높은 광전류를 기록했다.
이상한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광전극의 모듈화 기술을 통해 대면적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면서 “향후 후속 연구와 모듈화된 광전극을 통해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의 실용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상한 교수가 주도하고 김희주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최호중 GIST 박사와 GIST 박사 졸업후 독일과학연구소 헬름홀츠-젠트럼헤레온그룹 리더인 서세훈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수행했다.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ERC 선도연구사업과 GIST 개발과제(차세대에너지연구소)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선정돼 최근 게재됐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