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관 8곳 도입 그쳐
업계 “정책 혼선에 시장 위축”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역점 사업으로 손꼽아온 '온북(업무용 노트북)'을 도입한 중앙행정기관이 올 상반기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북 사업 예산이 2년 연속 전액 삭감된데다. 기관별 온북 도입 예산도 확보되지 않아 사실상 올해 온북 도입은 '제로'에 그칠 전망이다.
2일 업계와 정부에 따르면 올해 온북을 신규 도입한 중앙행정기관이 전무하다. 온북 운용체계 '구름OS'와 호환되는 공통플랫폼 구축 예산이 2년 연속 전액 삭감돼 도입기관이 자체 비용으로 플랫폼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온북은 공공기관 임직원이 외부에 있을 때도 업무망과 인터넷망에 접속해 업무 처리가 가능한 노트북이다. 기존 망분리를 위해 사용하던 2대의 데스크톱 PC를 온북 1대로 대체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자료에 접근할 수 있어 공무원의 업무 방식과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기대를 모았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5월 현재 중앙행정기관 50곳 중 온북을 도입한 기관은 행안부, 국방부, 교육부, 대구시교육청 등 8곳(16%)이다. 지난 2021년 11월 시범사업으로 행안부가 가장 먼저 도입한 후 2022년 1곳(교육부), 2023년 6곳(국방부, 기재부, 통일부, 산림청,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구시교육청)이 도입했다.
정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 과제로 올 연말까지 온북 도입 목표치를 30%로 제시했다. 아직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그친 셈이다.
온북을 운용하는 기관은 통신망, 네트워크 장비, 망분리 소프트웨어(SW) 등이 온북 운용체계 '구름OS'와 안정적으로 호환하도록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행안부가 모든 기관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통플랫폼 구축사업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자 각 기관이 노트북 구매 외에도 플랫폼 마련에 추가 비용을 들여야 하는 상황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통플랫폼은 각 부처·지자체가 별도 구축하는 플랫폼 비용과 시간 낭비를 없앨 수 있어 온북 확산을 위한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기재부에 지난해와 비슷한 81억원 정도 예산을 신청하는 등 내년 공통플랫폼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트북 제조사와 SW 업계는 정책 엇박자로 온북 시장이 사실상 없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오는 2027년까지 중앙행정기관 온북 도입률을 90%까지 늘린다는 목표에 온북용 제품을 준비했지만 막상 정부가 관련 예산을 배정하지 않아 초기 시장이 열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추후 예산이 배정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인프라 구축 기간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내년까진 온북 시장을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인철 기자 aup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