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中 AI 딥시크 등장에 846조원 증발

AI 가속기 블랙웰 플랫폼을 들고 있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사진=로이터 연합뉴스)
AI 가속기 블랙웰 플랫폼을 들고 있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등장에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27일(현지시간) 118.42달러(17만228원)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과 견줘 16.97% 폭락했다. 코로나 19 팬더믹 초기였던 2020년 3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딥시크 충격'으로 미국 반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했지만 엔비디아 주가 하락폭이 가장 컸다. 브로드컴 주가도 약 17.4% 폭락했는데, 엔비디아 주가 낙폭은 AMD(-6.37%), 퀄컴(-0.54%), ASML(-5.75%) 등 다른 반도체주보다 컸다.

시가총액도 2조9000억달러를 기록하며 3조달러선이 무너졌다. 지난 24일 대비 5890억달러(846조6천875억원)가 증발했다.

이날 시총 감소분은 뉴욕 증시에서 역대 단일 기업으로는 최대다. 지난해 9월 3일 엔비디아의 시총 감소분 2790억 달러의 두 배에 달한다. 시총 순위도 1위에서 3위로 주저앉았다.

이번 주가 하락은 중국 딥시크의 등장 영향으로 분석된다. 딥시크가 내놓은 V3 등 AI 모델은 오픈AI나 미국 빅테크의 AI 최신 모델 성능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성능을 내는 것으로 평가 받았는데, 이를 저렴한 AI 반도체 칩으로 구현했기 때문이다.

딥시크는 V3 모델 훈련에 엔비디아 H800을 사용했다. 미국 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성능을 낮춘 것이다. 딥시크가 AI 모델에 투입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가의 엔비디아 AI 칩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딥시크의 '저렴한' AI 모델 방식이 확산하면 엔비디아가 비싼 최신 AI 칩을 앞세워 올렸던 매출과 순이익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글로벌 투자 연구기관 야르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르데니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딥시크로부터 더 저렴한 그래픽처리장치(GPU)로 AI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면, 엔비디아에는 그다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성명을 통해 “딥시크의 작업은 새로운 모델이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이는 널리 사용 가능한 모델과 완전한 수출 통제 준수를 충족하는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며 “추론에는 상당수의 엔비디아 GPU와 고성능 네트워킹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