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통신업계 AI DC 활성화 전력·세제혜택 등 요청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는 범 국가적인 AI 확산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손꼽힌다. 스타트업, 대기업이 혁신 AI서비스를 개발·서비스하는 데 있어 AI DC를 활용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활용이 필수다. 미국과 일본 등은 민간 중심의 수십조~수백조원대 대규모 AI DC 구축 프로젝트가 가동되고 있다. 한국도 전력·세제 분야 지원이 절실하다고 통신업계는 주장한다.

2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AI DC를 통해 전력 수요가 집중되는 GPU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전력이 요구된다.

AI DC의 경우, 최소 3~4배 이상 전력집적도가 요구된다. AI DC는 랙당 전력 밀도가 20~40kW, 하이퍼스케일급은 60kW 이상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서버 10만대 이상 수용이 가능한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와 AI DC 등은 대부분 전력 공급이 상대적으로 원활한 지방에 구축되려는 움직임이다. 통신업계는 송배전망 확충과 더불어, 전력 계통 영향평가 등 규제를 완화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또, 현재 데이터센터 70% 이상이 수도권에 밀집돼 있다. 수도권 데이터센터도 AI 서비스 확대에 따라, AI DC로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국회와 정부는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는 조세특례 제한법(조특법)을 통과, AI DC 등 시설투자에 대해 세액공제를 확대했다. GPU 투자 등에 대해 대·중견기업은 19%에서 중소기업은 최대 29%의 세액공제가 가능하지만, 수도권에서는 혜택을 온전하게 받을 수 없다. 통신사들은 수도권에서도 세제혜택이 가능하도록 조특법상 세제혜택 축소를 명시한 수도권 과밀억제 규제 조항(130조) 면제를 건의하고 있다.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총 700조원을 투입, AI DC를 포함한 인프라를 확장한다. 일본도 소프트뱅크와 오픈AI가 협력해 240MW AI DC를 구축하는 등 민간 AI DC 투자가 활성화돼 있다. 우리나라도 이같은 민간투자를 활성화할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통신업계는 주문하고 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