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시대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분명한 전략 목표가 필요하다는 대한민국 IT구루들의 조언이 제시됐다.
AI에이전트 등 응용서비스를 비롯해 반도체, 제조업의 대규모 데이터 활용 등 우리의 장점을 살려 AI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에 맞서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는 게 필수라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인재양성에는 국가 차원의 집중투자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관련기사 8면〉
전자신문이 8일 서울 중구 더존을지타워에서 개최한 '대한민국IT구루 간담회'에 참석한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과 IT구루들은 AI 발전방향에 대해 이같이 논의했다.

간담회는 강 차관이 기조강연을 통해 AI컴퓨팅 인프라 확충과 차세대AI 모델개발, AI전환(AX) 가속화 3대 전략을 통한 국가 AI 역량을 강화방안을 소개하고, IT구루들이 논의하는 방식으로 전개됐다.
이금룡 도전과나눔 이사장은 “열심히 투자해서 미·중과 대등한 3등이 될거냐, 3등을 하더라도 응용분야에서 확실한 지위를 차지할 것이냐를 명확히하고 성공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은 “AI 투자에는 반도체가 필수인데, 유리기판 등 신소재와 혁신적 AI반도체 기술 분야에 정부가 투자한다면 곧바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형우 마이다스아이티 회장은 “전략적으로 거대언어모델(LLM)보다는 에이전틱 AI를 육성하는 방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일반인공지능(AGI) 분야도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현정 비트컴퓨터 회장은 “정부가 AI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트리거를 만들어야 하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AGI를 만들고, 풀뿌리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남민우 다산네트웍스 회장은 “정부의 AI 투자에 있어 인프라 뿐 아니라 응용 분야에 대한 지원도 확대되야 하며, AI 에이전트 등 분야에도 과감한 세제혜택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IT구루들은 AI 엔지니어 양성은 물론 대학 교육, 기업에서 실질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보편적 AI 교육을 위해서도 정부 투자가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