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6월 15일에 500만 관중을 돌파했다. 역대 최다 관중을 동원했던 2017년(840만명)의 기록을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온라인에서의 팬들의 반응도 뜨겁다. 티빙이 유무선 중계권을 확보하면서 가능해진 하이라이트 영상 활용
콘텐츠칼럼
-
역대 최고 투자 티빙, 역대 최대 인기 프로야구 상관관계2024-07-01 16:01
-
게임산업 진흥계획안과 그 과제
최근 정부는 ‘게임산업 진흥 계획안’을 발표했다. 게임 산업이 고성장, 일자리 창출, 수출 효자 산업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세계 게임 시장을 선도하는 한국 게임 산업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규제 혁신
2024-05-20 16:00 -
더욱 안전하고 건전한 게임 환경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며 게임은 모든 세대에 하나의 거대 문화로 자리 잡고 산업과 문화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게임을 접하는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게임업계는 모든 연령대의 이용자가 건전하고 안전한 게임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게임에 대한 편견이 존재했던
2024-04-08 16:00 -
e스포츠와 인터넷 중계의 역사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트위치는 단순한 게임 방송 플랫폼 이상으로 e스포츠 팬들이 모여 소통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공간 역할을 해왔다. 2011년 서비스 시작 이후 한국 e스포츠의 성장과 함께 발맞춰 왔던 트위치의 갑작스러운 철수는
2024-03-25 16:00 -
공정하고 자유로운 게임 환경 조성으로 게임이용자 권익 보호
게임은 우리나라 국민의 63%가 즐기는 대표적인 여가 활동이다. 1월 30일에 있었던 제7차 민생토론회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룬 주제도 ‘게임이용자의 권익을 높이는 게임산업 생태계 조성’이었다. 게임이용자의 권익 보호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다. 하나는
2024-02-26 16:30 -
지속가능한 e스포츠 산업을 위한 교육기구 수립 필요성
최근 LCK와 프로구단 간 수익배분 문제 등 e스포츠 관련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연봉, 이적, 중계권 등 e스포츠 산업적 측면이 부각되며 이목을 끌었다. 산업 발전이 급속하게 이뤄짐에 따라 e스포츠에 대한 대중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e스포츠는 대한민국 국가대
2024-01-29 16:00 -
총선을 앞두고 성급한 입법은 K콘텐츠를 위협한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과 디지털 콘텐츠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플랫폼 경쟁촉진법(플랫폼법)’과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회에서 추진 중인 ‘문화산업의 공정한 유통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안(문산법)’까지 21대 국회 막바지에 졸속 입법될 수 있다
2024-01-15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