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칼럼]게임산업 진흥계획안과 그 과제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최근 정부는 '게임산업 진흥 계획안'을 발표했다. 게임 산업이 고성장, 일자리 창출, 수출 효자 산업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세계 게임 시장을 선도하는 한국 게임 산업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규제 혁신 및 공정 경쟁 환경 조성, 게임 산업 기반 강화라는 3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팬데믹 시대, 실내 활동이 늘어나며 전 세계적으로 게임 이용이 급증했다. 이에 따라 게임 매출도 증가했고, 많은 투자가 이뤄졌다. 또 인디 게임 개발 활성화, 클라우드 게임666, 메타버스692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 개발 등 게임 산업의 다양성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더욱이 생성형 인공지능779(AI)의 등장은 게임 개발 방식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그렇다면 게임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를 확보해야 할까. 첫째, 차별화된 콘텐츠 제작이 필수적이다. 글로벌 시장 수요에 맞춰 문화적 감수성을 반영한 게임 제작을 해야 하며,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그래픽, 사운드 등 사용자에게 몰입감 넘치는 게임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 게임을 홍보하고 판매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주요 국가의 게임 시장 특성, 주요 게임 장르, 소비자 선호도 등을 분석, 게임 설치 후 지속적으로 플레이하는 진성 사용자를 확보할 전략을 갖춰야 한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 게임 포털 사이트, 스트리밍 플랫폼 등을 활용해 예산 대비 효과를 이끌어내어야 한다.

셋째, 게임 시장의 다양성이 확대되면서 중소·인디 게임 개발사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과거 RPG 중심이었던 매출 구조가 전략, 액션, 보드, 하이퍼 캐쥬얼 등 다양한 장르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부분 유료화 보다도 광고 수익화 사업 모델의 비중이 더 커지고 있다. 중소·인디 게임 개발사들이 해외 진출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 설계 및 사업 운영 컨설팅 및 교육, 번역 및 현지화 지원, 해외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이 지원되어야 한다. 최근 저작권 및 IP에 대한 법적 대응 강화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런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번 정부의 게임 산업 진흥 계획은 개선의 여지를 많이 남긴다. 첫째, 인디 게임의 수출 지원은 글로벌 앱 마켓, 오픈 마켓164 환경에 맞춰 좀 더 개선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디바이스에 따라 개발 단계별 지원하는 정책보다는 멀티 플랫폼, 디바이스 통합에 걸친 유망한 인디 게임 회사들을 대형 게임 회사들의 노하우와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드라마·영화 산업의 경우 기본 세액 공제율 상향이 이루어져 중소기업은 제작비에 따르는 세금을 최대 30%까지 공제받고 있는데 비해, 콘텐츠 수출의 70%를 담당하는 게임 산업은 이와 같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세액 공제 지원은 인디, 중소 게임 기업의 제작비 부담을 줄여 게임 개발 및 투자가 활성화되고 우수 콘텐츠 제작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서둘러 이뤄져야 할 것이다.

둘째, 게임 규제에 대해서도 좀 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게임물 등급분류 관련 제도 개선은 이미 오랫동안 진행 중인 내용으로 산업의 진흥을 위해서 대대적인 규제 완화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법적 규제에 따른 국내 게임사 역차별 문제는 해소되어야 한다. 해외 게임 회사의 경우 한국 지사가 없는 경우가 많아 규제 준수가 어렵다. 또 국내 대리인을 의무적으로 지정하도록 추진하고 있지만, 지정이 되더라도 해외 사업자에 대한 집행 방안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인력과 관련해서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 실적 부진과 과잉 투자로 인한 구조 조정이 이루어지는데, 늘 하던 대로 게임 전문 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을 하는 계획은 현 상황에 맞지 않다. 대형 게임 회사들을 떠나 새로운 도전을 하는 전문 인력들에게 어떻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정부의 이번 '게임 산업 진흥 계획안'은 게임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인디 게임 지원, 규제 완화, 인력 문제 등 글로벌 성장 전략 관점에서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 smjeon@gachon.ac.kr